로그인
로그인

HOUSE

HOUSE 금산 ALC 패시브하우스 동락同樂

페이지 정보
profile image
작성자
  • 0건
  • 60회
  • 25-09-01 17:09
본문

검증된 쾌적함과 내진을 누리는 친환경 주택

금산 ALC 패시브하우스 동락同樂

ALC 조적구조는 기밀과 구조성능에 취약하다는 것도 옛말.

디테일과 아이디어로 풀어낸 첫 공인 ALC 패시브하우스를 만났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00.jpg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02.jpg 

지붕 위 태양광 패널은 보조금 지원 규모의 두 배인 6kW를 설치했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03.jpg 

단정한 파사드를 가진 주택. 각 창 위에는 외부 전동차양이 눈썹처럼 올라가 있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04.jpg

필지가 도로에 ㄱ자로 면하고 있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대지 레벨을 높이고 담장을 둘러줬다.

 

 

 

야트막한 언덕 위에 존재감을 뽐내는 밝은 아이

보리 컬러 주택 하나가 지어졌다. 겉보기에는 장

식이 적어 담백한 느낌을 주는 외관이지만, 의외

로 ‘우리나라 최초’ 타이틀을 하나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처음으로 공식 패시브하우스 인증

을 받은 ALC 주택’이라는 것. 

“‘따뜻하다’, ‘웃풍 없다’, ‘친환경적이다’라는 말

은 누구나 어떤 상황에서도 할 수 있잖아요. 저

는 그간 노력의 결과인 명확한 근거를 숫자로 갖

고 싶었어요.”

건축주는 패시브하우스 인증 이유와 함께 설명

을 이어나갔다. 부모님과 동생 가족, 3대가 지낼 

집을 짓고자 했던 건축주는 여러 구조에 대해 

알아보면서 ALC 조적 구조에 주목했다. 크게 두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하다고 생각했기 때문

이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01.jpg

주택이 획득한 패시브하우스 공식 인증.

 

우선은 구조체 자체가 단열성능을 갖추고 있기

에 향후 에너지 비용면에서 유리했다. 복잡한 구

조를 갖지 않아 일반 관리 소요도 적었다. 다른 

하나는 유해 물질 배출이 0에 가까워 건강에 취

약한 연로하신 부모님과 갓 태어난 조카에게도 

안심이었다. 실제로 준공 후 건축주는 8개 포인

트에 IoT 센서를 두고 꾸준히 공기질을 체크했

는데, 가구가 반입된 직후를 제외하고는 유해 

물질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ALC 구조와 패시

브하우스 특성상 외관 디자인은 조금 단조로워

질 수 있었지만, 건축 목표에 대해 가족과 상세

히 대화를 나누고, 이해를 구했다. 결정이 이뤄

지자 패시브하우스 인증을 전제로 시공사와 건

축가를 찾았다. 수년간 ALC 주택을 구현해온 

‘더집’과 ‘종합건축사사무소 청목재’와 손을 잡았

고, 국내 최초 ALC 패시브하우스가 탄생했다.

주택은 2층 구성으로, 각 층에 한 세대씩 자리

한다. 1층과 2층은 구조를 대부분 공유하며 아

래층에는 부모님이, 위층에는 동생 가족이 지낸

다. 차이라면 방 개수 정도인데, 가족 모임 때 넓

은 거실이 필요했던 부모님 세대가 방이 한 칸 

적은 대신 거실이 그만큼 넓어진 정도다. 이때, 

넓은 거실은 마냥 쉽게만 이뤄진 것은 아니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05.jpg

넓은 거실을 위해선 그만큼 긴 장선을 가지는 

ALC 슬래브 패널이 있어야 했는데, 패널의 규격

은 최대가 6m였기 때문이다. 경험이 부족한 현

장에서는 벽간 거리를 6m로 맞추는 일이 많지

만, 동락 현장에서는 패널을 보조구조물(H형강)

로 지지해 부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두 세대 모두 실내는 화이트 톤의 천연페인트를 

바탕으로, 특별히 포인트를 주기보다는 바닥재

와 가구의 우드톤을 더해 내추럴한 분위기를 연

출했다. 주택의 외부는 단정하게 마무리한 가운

데, 창마다 외부 전동블라인드(EVB)가 설치되

어 눈썹처럼 독특한 인상을 준다. 벽체 중간에

는 고리들이 달려 있는데, 여름철 아이들이 외부

에서 안심하고 놀 수 있도록 차양 설치를 위해 

미리 준비해놓은 것이다. 한편, 야외활동의 주 

무대가 될 데크는 목재 데크 대신 천연석을 적용

해 관리요소를 줄였다.

건축사사무소 청목재의 서정수 소장은 “패시브

하우스와 ALC는 최적의 조합”이라고 설명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재료적 안정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09.jpg

1층 부모님 세대의 복도.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0.jpg

주방은 북향이지만, 경관이 좋아 상부장을 없애도 창을 비교적 크게 썼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07.jpg

2층 동생 세대의 거실. 지붕 박공선이 살아있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08.jpg

복도쪽 욕실의 모습. 안방 욕실은 가벼운 볼일만 볼 수 있게 줄이고, 가족이 

함께 쓰는 복도 욕실에 욕조와 면적을 더 부여했다. 

 

TECH 금산 ALC주택에 적용된 내진-패시브 디테일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1.jpg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2.jpg 

1 보강기둥 시공

내진구조설계가 적용된 이후 골조를 조적하면서, 철근콘크리트 보강기둥을 만들었다. 

보강기둥은 블록의 구조 포인트에 정밀히 타공된 블록을 쌓고, 그 안에 기초콘크리트 

공정에 쓰이는 연장 철근을 연결하고, 다시 그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해 만든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3.jpg 

2 보강 구조물

‘ALC는 공간을 자유롭게 만드는 데 제약이 많다’는 선입견이 있지만, 이번 현장에서 

사용된 것처럼 H형강을 비롯해 기타 보강구조물을 사용한다면, ALC로 구현하지 

못하는 공간은 없다. 물론, 그만큼 경험이 많은 건축가가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4.jpg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5.jpg 

3 개구부 인방보 설치

인방보는 개구부, 창호 상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주택용 내력 

인방보’가 적용된다. 여기에 창호 하부 부분에는 긴 방향으로 블록에 홈을 파 설계 

기준에 맞춘 보강철근을 삽입하고 모르타르를 충진한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6.jpg 

 

4 보강기둥 및 테두리보 결합

외벽 모서리와 일정 길이 이상의 벽체에는 현장 타공으로 지름 150mm 이상의 

보강기둥이 만들어진다. 이후 해당 층의 조적이 완료되면 보강철근이 삽입되고,  

일체화 시공을 위해 테두리보 철근과 결속 후 모르타르 충진이 진행된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7.jpg

 

POINT 1_외부 전동차양

늘 일정한 실내 기온 유지를 목표로 하는 

패시브하우스에 있어 실내 일사량 조절은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 외부 전동차양은 

에너지 차단 효과가 큰 실외에서 역할을 수행한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8.jpg

POINT 2_열회수환기장치

높은 기밀성능을 가지는 패시브하우스 내의 공기를 

최소화한 열손실만으로 환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다. 

이 장치 내에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는 서로 열을 

교환해 배출 또는 유입된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19.jpg

POINT 3_대류 디퓨저

ALC는 함수율과 실내 습도 제어가 관건. 벽체가 

드러나는 부분은 통기성 있는 마감재를 적용하고, 

이것이 어려운 천장이나 붙박이장에는 디퓨저를 

장착해 습기가 정체되지 않고 대류·순환되도록 했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0.jpg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1.jpg

 5 바닥 및 지붕 슬래브 패널 시공

두께 250mm(바닥), 200mm(지붕), 길이 최대 6m까지 생산되는 슬래브 패널은 

양쪽 면이 일정 규격으로 가공되어 배치 시 패널 사이에 보강 철근을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최종적으로 테두리 보에 배근된 철근에 정착돼 서로 일체화 된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2.jpg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3.jpg

6 전용 모르타르 시공 및 기밀 작업

패시브하우스라고 해서 특별히 다른 소재나 신공법이 적용된 것은 아니었다. 전용 

모르타르를 규정에 맞게 충실히 채워 조적하는 것만으로도 누기를 막을 수 있었고, 

외부 배출 타공 및 창호 시공 시 기밀 자재 적용에 특히 신경 썼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4.jpg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5.jpg

7 추가 단열 및 마감

미장마감재를 선택할 때는 추가 단열 시 경도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며, ALC와 

물적 성질이 동일한 에어셀이나 미네랄울보드(140kg/cm2 이상)가 이용된다. 전용 

접착제를 테두리에 끊김 없이 도포하고 열교방지 화스너로 고정했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6.jpg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7.jpg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8.jpg

 

 8 기밀, 열교 및 단열성능

한국패시브건축협회의 최종 점검 후 결과는 기밀성능 0.26(n50), 에너지 성능 2.1ℓ. 

패시브하우스에서도 최상급으로 나타났다. 이는 벽체부터 지붕까지 모든 구조체를 

ALC로 구성하는 ‘ALL-ALC’ 구조였기에 가능한 결과였다.

 

ZOOM IN. IoT 활용 주택 관리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29.jpg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30.jpg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31.jpg 

 주택에 상시 머물기 어려운 건축주는 실내 곳곳에 기온, 

습도와 미세먼지, TVOC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두어 

체크하고 있다. 특히 ALC 패시브하우스는 실내 온도 및 

습도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준공 후 꾸준히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적절한 환기와 

기계적 제습이 이뤄지기도 하고, 마찬가지로 IoT로 

연동된 외부 전동차양과 난방을 조절해 실내 온도를 

조정하기도 한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32.jpg 

석재 데크를 넉넉하게 깔고, 바로 옆으로 외부 수돗가도 여유롭게 둬 가족이 

모여 하는 외부활동에도 편리하다.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33.jpg c_078-085 AD금산ALC주택_쌍용ALC_-034.jpg

대지는 얼마간 성토해 전망을 충분히 확보했다.                  위에서 내려다본 주택 필지가 단정하게 정리되어 있다. 

 

성 덕분에 단열, 열교, 기밀 관리가 필수인 패시

브하우스에 정확히 부합한다는 것. 다만, 정확

한 전용 자재와 시공 디테일이 필수인 만큼 충분

히 경험 있는 전문가들과의 작업을 권했다. 

건축주도 “시공과 건축사를 선정할 때 최소 2~3

년 이내의 포트폴리오와 해당 건축주를 꼭 만나

보라”며 설명을 보탰다. 의외로 준공 이후 남보

다 못한 사이가 되어 연락이 끊기는 경우도 있는

데, 건축 과정은 변수의 연속에 소통이 크게 중

요한 만큼 이전 건축주로부터의 평가를 챙기는 

것이 좋다고.

취재 중 일을 마치고 돌아온 건축주의 부모님은 

수줍어하면서도 새로 지은 집에 대한 애정을 아

낌없이 펼쳐 보였다. 따뜻함은 물론, 처음 입주

했을 때부터 공기에서 기분 좋음을 느꼈다는 두 

분. 새집에서의 상쾌함과 행복을 이야기하는 모

습에서 건축주의 노고와 집에 대한 자부심이 느

껴지는 듯했다. 

 

 


HOUSE PLAN

대지위치 ≫ 충청남도 금산군

대지면적 ≫ 983m2(297.35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거주인원 ≫ 5명(부모님 + 부부 + 자녀 1)

건축면적 ≫ 112.04m2(33.89평)

연면적 ≫ 198.64m2(60.08평)

건폐율 ≫ 11.40%(법정 60% 이하)

용적률 ≫ 20.21%(법정 80% 이하)

주차대수 ≫ 3대

최고높이 ≫ 9.10m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벽 : 쌍용 ALC 블록 / 지붕, 

바닥(2층) - 쌍용 ALC 슬래브 패널

단열재 ≫ 벽 – 미네랄울 보드 140K 

100mm / 지붕 – 그라스울 

40mm(가등급) + 140mm(나등급)

외부마감재  ≫ 외벽 – STO 

미장마감시스템 / 지붕 - 알루징크

담장재 ≫ 두라스텍 큐블록

창호재 ≫ 엔썸 케머링 독일식 

시스템창호(에너지등급 1등급)

외부블라인드 ≫ ㈜롤라덴 전동 롤러셔터

열회수환기장치 ≫ Domekt R 300 V

기밀도(n=50, 1/h) ≫ 0.26

난방성능 ≫ 20.63kWh/㎡·yr

에너지원 ≫ LPG

토목설계 ≫ 신화 토목측량 설계사무소

보강토 ≫ 해성토건

구조설계 ≫ 조우엔지니어링

설계 ≫ 종합건축사사무소 청목재 

02-2058-3339 

https://blog.naver.com/soomok737 

시공 ≫ 더집 010-2324-1591 

https://blog.naver.com/aiku70 

취재협조 ≫ 쌍용 ALC 기술연구소  

010-5326-4264 www.syc-alc.co.kr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 – 아우로(AURO) 

천연페인트 도장 / 바닥 – 한샘 강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 동서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주방·붙박이장·가구 ≫ 한샘 

실내 블라인드 ≫ ㈜보라커텐시스템 

트리플 블라인드

계단재·난간 ≫ 멀바우 

조명 ≫ 대전 ㈜비춤

현관문 ≫ 살라만더 현관문

방문 ≫ 예림도어(방염)

데크재 ≫ 이탈리아산 천연석재(포피리 

라스트라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