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uujj.co.kr/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396&page=24
HOUSE 페이지 | 전원주택 정보의 모든 것 월간 전원속의 내집
로그인
회원가입
쇼핑몰
HOUSE
LIVING & DECO
CULTURE
설계제안
아이디어
분양정보
업체정보
공지사항
HOUSE 페이지
검색
포인트정책
HOUSE 포인트 정책
글쓰기
5P
전체 17건 / 1 페이지
전체
열린 분류
HOUSE
STAY
인기
4일 전 HOUSE
제주 오름을 닮은 블랙하우스
오늘은 정말 특별한 제주 전원주택을 소개해드려요. 서귀포시 호근동에 위치한 이 집은 마치 제주의 오름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어요. 울산에서 엔지니어와 아티스트로 살아가던 부부가 인생 2막을 위해 선택한 특별한 집의 이야기를 들어보실래요? 제주에서 시작하는 새로운 인생 울산에서 치열하게 살아온 건축주 부부는 자녀들을 대학까지 진학시킨 후, 잠시 숨을 돌리며 뒤돌아보게 되었어요. 그리고 깨달았죠. "이제 우리의 시간이다!"라고요. 그래서 결심했어요. 도시를 떠나 그간 마음속에 그려왔던 제주에서 집을 짓고 인생의 제2막을 시작하겠다고 말이에요. 정말 로맨틱하지 않나요? "땅을 닮은 집"이라는 철학 건축주 부부가 건축가를 찾을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원칙이 있었어요. 바로 **'땅을 닮은 집'**이었답니다! "아무리 아름다워도 혼자 이질적으로 튀기보다는 제주의 풍경과 마을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기를 바랐습니다." 이런 철학에 딱 맞는 건축가가 바로 제로리미츠건축사사무소의 김종서 소장이었어요. 제주 집을 여러 차례 설계해본 경험이 있어서 더욱 적임자였죠! 오름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 위치와 주변 환경 위치: 서귀포 중산간 마을 (바다에서는 조금 떨어진 곳) 주변 풍경: 귤농장, 구불구불한 마을길, 멀리 한라산과 오름들 대지면적: 725㎡ (219.31평) 이 집의 기본 매스 형상은 오름을 모티브로 했어요! 오름이 보여주는 완만한 라인과 어울리도록 일방적으로 뾰족한 박공이나 박스 스타일은 피하고, 곡선보다는 도시적인 직선의 조합으로 균형점을 찾아 지금의 멋진 입면을 완성했답니다. ⚫ 블랙 세라믹 타일의 선택 김종서 소장이 가장 깊이 고민했던 부분이 바로 마감재 선택이었어요. 고려사항들 디자인 측면: 제주 경관과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는 컬러 환경 조건: 많은 비, 강한 바람, 높은 습도, 소금기 섞인 해풍 건축주 의향: 천연 석재보다는 도시적 감각의 소재 선호 여러 소재를 놓고 건축주와 건축가의 긴 논의 끝에 결정한 것이 바로: 컬러: 제주의 땅과 같은 블랙 소재: 물과 기후에 강한 세라믹 타일 정말 현명한 선택이었어요! 30평대 콤팩트한 2층 구조 1층 (91.14㎡) 현관 → 주방 → 식당 → 거실 → 안방으로 이어지는 긴 동선 대부분의 기능을 1층에 집약 거실은 천장을 오픈해 2층과 연결되는 보이드 공간으로 구성 중정을 중심으로 둘러싸듯 공간 배치 2층 (35.10㎡) 작은 침실 작업실 (건축주의 그림 작업 공간) 옥상 테라스 창고 총 연면적: 126.24㎡ (38.26평) 디테일에 대한 장인정신 이 집에서 정말 감탄스러운 부분이 디테일에 대한 세심함이에요! 외부 타일 시공 지붕면이 만나는 모서리 등 재료의 질감이 드러나는 곳은 줄눈 위치까지 정확히 맞춰서 선을 이어줌 모서리가 직각이 아니라서 줄눈을 잇기 위해 평소보다 3~4배 이상 시간이 소요되었다고 해요! 내부 자작나무 합판 1층은 도장, 2층은 자작나무 합판으로 마감해 구분감 연출 각 합판이 만나는 선은 물론 지붕면의 꺾임까지 고려해서 판재 재단 연속성을 살려 자연스럽게 공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시공 제주다운 집의 완성 요즘 SNS에서는 제주 풍경을 해친다며 어색하게 튀는 건물들이 종종 화제가 되잖아요. 하지만 이 호근동 주택은 현지 천연 소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땅과 잘 어울릴 수 있음을 증명해보인 좋은 선례라고 생각해요! 블랙 세라믹 타일로 마감된 이 집은: 제주의 돌담과도 자연스럽게 어울리고 귤농장 너머로 보이는 모습도 전혀 이질적이지 않아요 한라산과 오름, 먼 바다 뷰를 와이드하게 조망할 수 있는 코너창들이 멋스러워요 집 정보 요약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호근동 대지면적: 725㎡ (219.31평) 건물규모: 지상 2층 거주인원: 4명 (부부 + 자녀 2) 연면적: 126.24㎡ (38.26평) 주차: 1대건폐율: 14.56% / 용적률: 17.41% 주요 마감재 외부: 세라믹 와이드롱타일 블랙 내부 벽: 친환경 수성 도장 + 자작나무 합판 바닥: 이건 온돌마루 구조: 철근콘크리트 정말 멋진 집이죠? 제주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모던하고 세련된 감각을 잃지 않은 이 집을 보면서, 건축이란 결국 **'그 땅에 어떻게 자연스럽게 스며드느냐'**가 관건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울산에서의 바쁜 삶을 정리하고 제주에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 이 부부의 용기도 정말 멋있고요! 여러분도 언젠가 이런 용기를 낼 수 있을까요? ???? 4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지만, 그만큼 완성도 높은 집이 탄생한 것 같아요. 땅을 읽어내고 그 땅에 어울리는 집을 지었기 때문에 10년, 20년이 지나도 여전히 아름다울 것 같지 않나요? 다음에도 더 멋진 전원주택 이야기로 찾아뵐게요!
관리자
조회 105
인기
4일 전 HOUSE
독특한 모양으로 탄생한 새로운 집
UNIQUE SHAPES 특별한 집짓기의 영감을 받고 싶은 건축주들에게 바다 건너 편지처럼 날아온 독특한 해외 주택 디자인 아이디어 모음. collaboration_NemoFactory www.nemofactory.net BUMPERS OAST HOuSE 취재 손준우 사진 JIM STEPHENSON 옛것을 받아들여 새것의 가치를 더한다는 뜻의 온고지신을 현대 건축에 적용할 수 있을까? ‘Bumpers oast house’는 전통 맥주 홉 양조 가옥을 21세기에 맞게 재해석한 집이다. 익숙한 듯 새로운 형태의 이 집은 다섯 개의 원형 탑이 네 방향으로 피어나듯 구성됐다. 각각의 원탑은 침실과 욕실 등의 생활 공간을 온전히 담아내기 위해 살짝 간격을 두었다. 또한 기존 양식 그대로 널빤지로 원뿔형 지붕의 틀을 구성하고 지역 전통의 타일을 사용하면서도 저에너지 사양을 위해 고민했다. 단열성 높은 목재들을 기초로, 곡선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마감재를 선택했다. 또한 다양한 방향으로 낸 창문들이 건물 전체에 계절의 햇살을 담아내며 과수원 한가운데에 위치한 필지의 장점이 살아난다. 한 집의 다섯 지붕 원뿔형의 탑 다섯 개가 모인 형태의 주택은 입면은 날카롭지만 위에서 보면 또 다른 개성이 있다. 각각의 공간은 가운데에서부터 연결되면서도 서로 다른 구조와 층 구성을 통해 별도의 역할을 수행한다. 전통 켄트식 타일 디테일 총 8가지 색조의 켄트식 타일을 외장재로 사용했다. 크게 빨간색, 오렌지색, 청회색으로 구성되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차 진해진다. 유일하게 광택이 도는 청회색 타일이 햇빛과 어우러져 주변의 풍경과 집이 조화를 이룬다. 모든 방향으로 난 창 약간의 거리를 둔 각 매스들 덕에, 좀 더 다양한 창문 아이디어를 적용할 수 있게 됐다. 각 방은 저마다 다른 풍경을 담아내며 동시에 채광이 더 용이해진다. 단열 마감재와 함께 더욱 따스한 저에너지 주택을 만드는 포인트가 된다. 주택의 실내와 지붕에 적용된 곡선은 미적으로는 훌륭한 아이디어이지만, 건축적으로는 여러 어려움이 따르는 조건이기도 했다. 시공 면에서 적용 가능한 재료를 찾고 어울리는 컬러를 선정하기까지 여러 고민이 있었다. 지붕에는 켄트식 타일을 섬세한 색조합으로 원뿔형 지붕에 적용해 단조롭지 않게 주변 풍광과 어우러지는 외관을 완성했다. 바닥면에는 마이크로 시멘트를적용했는데, 더욱 섬세하고 유동적인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은은한 광택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실내 공간에는 자작나무와 오크사이딩을 더해 내부 구조의 곡선을 부드럽게 살리고 따뜻한 색감까지 더했다. HOuSE pLAN 대지위치 ≫ 영국 켄트 준공연도 ≫ 2019년 건물규모 ≫ 지하 1층, 지상 2층 건축면적 ≫ 230m2(69.57평) 구조 ≫ 목구조 설계 ≫ ACME
관리자
조회 101
인기
6일 전 HOUSE
모두가 살기 좋은 집을 위하여
서울에서 멀지 않은 경기도 가평 설악면, 산소발생기를 만들고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 ㈜옥서스의 산소기술연구소가 있다. 근처 산세 좋은 풍경 속 자리한 3층 백색 벽돌 건물은 이 회사의 임직원들을 위한 복지동이다. 20년 넘게 반려동물 의료시설 건축·인테리어 작업을 이어온 경력을 바탕으로 설립된 종합건설회사 ㈜건축중심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수백 개의 동물병원 같은 의료센터 작업을 해왔고, 메디컬 시스템과 관계 깊은 일이다 보니 산소발생기 같은 설비나 시스템에 대한 자문에 응하는 일도 꽤 많았죠. 산소기술연구소의 복지동인 이번 프로젝트는 그간의 작업을 통한 인연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건축중심 이준호 대표가 늘 강조하는 건축의 지향점은 ‘생명이 움트는 공간’을 만드는 것. 단순히 예쁘게 치장하기보다 기능과 감성적인 면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는 치유공간을 주로 작업하며 구축된 방향성이다. 직접 병원에서 생활하며 수의사, 보호자, 동물들의 습관과 생활방식, 동선을 분석하고 장비에 대한 지식을 습득했던 그는, 이제 더 나아가 사람과 동물, 모든 생명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산소기술을 연구하는 이들을 위한 공간 건축을 맡게 된 것 역시 그 연장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산소기술연구소 복지동 프로젝트는 화려한 기교를 부리기보다 건축주가 원하는 공간과 기본에 충실한 공간을 실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군더더기 없이 심플한 디자인의 외관은 깨끗한 이미지의 화이트톤 벽돌로 마감하고, 이곳에서 생활할 임직원들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대지의 높이차를 활용해 층별 출입구를 따로 만들었다. 1층은 식당 겸 카페 테라스 공간, 회의실, 라운지 등의 공동 공간으로 구성하고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의 감각적인 인테리어를 연출했다. 기숙사로 활용되는 2층은 직원들의 생활 반경을 고려하여 채광과 환기를 강조하고 내구성을 기본으로 계획하였다. 높은 천장고의 시원한 공간감으로 다락 있는 전원주택을 연상케 하는 3층에는 임원 사택이 자리한다. 임직원 모두가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공간, 많은 인원을 수용하는 동시에 최적화된 공간 활용이 가능한 건축물을 원했던 건축주의 바람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건물이다. 물론 그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 산을 깎아 짓다 보니 토압의 문제가 있었고, 건물을 경사진땅에 심은 듯한 형상이라 방수 문제도 우려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철근 배근을 기존 벽보다 2.5배 강화했다. 또한, 층별 콘크리트 조인트에 지수판(water stop, 止水板)을 삽입 설치하여 3중으로 되메운 자리의 누수 발생을 철저하게 방지하였다. 준공 후, 건축주는 몇 년간의 계획이 비로소 바라던 모습 그대로 실현되었다며 기쁜 마음을 전해왔다. 이준호 대표는 이 말을 들으며 건물이 진정 완공되었음을 느꼈다고. 진심을 담은 건축물은 거주자에게 확연히 다른 만족감을 준다. 이를 증명하기라도 하듯, 연구소 직원들도 쾌적한 환경에서 더없이 만족스러운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텅 빈 공간에 숨결을 불어넣고 생명과 공간의 본질을 생각하는 일.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건축을 이어가겠다는 ㈜건축중심의 다음 프로젝트가 기다려지는 이유다.
관리자
조회 177
인기
10일 전 HOUSE
가벼운 느낌으로 만난 투명한 집(Floating Wall House)
가벼운 느낌으로 만난 투명한 집Floating Wall House 자리 잡은 벽 사이로 펼쳐지는 풍경과 별과 하늘. 떠 있는 듯한 집에서 주중의 노고를 녹인다. [취재 신기영 기자 사진 변종석]부드러운 산 능선이 만드는 매력적인 경관을 가진 마을의 한편. 외길을 따라가다 보면 야트막한 언덕 위 하얀 건축물이 눈에 담긴다. 흔한 말로 ‘언덕 위의 하얀 집’. 건축주 정재윤 씨는 “그것도 의도했던 것 중 하나”였다며 웃어 보였다. 흔한 말로 시작했지만, 흔한 형상을 가진 집은 아니었다. 장방형의 긴 형태를 가진 집은 본채 위에 길고 큰 두 벽을 얹고 끝을 다른 벽으로 받쳐놓아 공중에 띄워 놓은 듯한 모습을 가졌다. 그 아래에 넓은 유리로 감싼 거실이 이 건축물이 집임을 드러낸다. 여행을 즐기는 가족을 위해, 코로나 걱정 없이 안심하고 쉴 공간을 위해 아내의 고향 집 옆 대지에 주말주택을 짓게 되었다는 재윤 씨. 낮에는 푸른 대지가 주는 경관을, 밤에는 별이 끝없이 펼쳐진 하늘을 담아보고 싶었던 가족은 주아키텍츠 주성용 소장과 미팅하면서 한 가지 요청을 했다. “집이 특이할 정도로 투명했으면 좋겠다”고. 그것이 이 독특한 집의 시작이었다. 벽이 떠 있는 듯한 형상은 투명함을 위해 도입된 디자인 요소 중 하나였다. 떠 있는 벽 아래로는 거실을 두르듯 3면에 큰 유리벽이 세워졌고, 풍경은 와이드하게 공간을 가득 채운다. 거실 유리벽 밖으로는 테라스와 남측 벽이 서 있다. 이 남측 벽은 거실을 연장하는 듯한 효과를 주면서 사계절의 변화를 더욱 드라마틱하게 만든다. 또한 떠 있는 벽을 지지하는 구조 역할을 하면서, 일사량을 조절하는 차양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울타리 역할을 해 테라스를 아늑한 휴식공간으로 만들어준다. 수평으로 담아내는 풍경뿐 아니라 수직으로도 투명함을 만들고자 했다. 아이방과 부부침실 사이의 복도 위로 놓인 긴 장방형의 천창이 그것으로, 밤이 되면 천창으로 홍천의 반짝이는 밤하늘이 펼쳐진다. 복도는 수평 양측으로도 좁지만 긴 창이 나 있어 실내지만 자연 속에 고스란히 노출된 듯한 개방감을 즐긴다. 은 익숙한 지역에서 주말주택으로 계획되었기에 불필요한 부분은 상당히 덜어내고 대신 조금 더 여러 모험을 해볼 수 있었다. 집은 현관을 기준으로 남측으로는 거실 등 공용공간이, 북측으로는 침실이 자리했다. 이 집에서는 층을 늘리는 대신 층고를 높였다. 높은 층고가 가지는 매력과 계단으로 인한 면적 손실을 생각한 결과였다. 3m에 이르는 천장고 덕분에 크지 않은 건축면적임에도 갑갑하지 않다. 재윤 씨는 “관념적으로 2층이나 다락을 올리기보다는 다양한 공간을 만나보고 결정했으면 좋겠다”며 예비 건축주들에게 권했다. 실내 공간은 ‘떠 있는 벽’처럼 구름을 모티브로 인테리어가 이뤄졌다. 공간을 풍부하게 간접등으로 채우면서 다운라이트로 밤하늘의 별빛을 묘사했고, 복도에 닿는 모든 문은 히든도어로 적용하는 등 벽체 장식을 최소화해 공간감을 명료하게 드러냈다. 방은 두 아이와 부부가 머물 두 칸만 최소한의 면적으로 담백하게 만들었다. 주말주택으로서 이 집과 주변에서 즐길 것들이 많아 방의 구성 요소와 장식은 최소화했다. 여행을 즐기는 네 식구는 이제 주말마다 집에서 집으로 여행을 떠난다. 낮에는 뛰어놀고, 밤에는 불을 피워 음식을 해 먹으며 주말을 즐긴다. 자연을 품으며 마주하는 이 집에서 가족은 떠다니는 듯한 기분을 느끼며 가벼워진 마음으로 다시 한주의 일상을 꾸려간다. HOUSE PLAN 대지위치 ≫ 강원도 홍천군 대지면적 ≫ 863m2(261.05평) 건물규모 ≫ 지상 1층 거주인원 ≫ 4명(부부 + 자녀 2) 건축면적 ≫ 100.92m2(30.52평) 연면적 ≫ 100.92m2(30.52평) 건폐율 ≫ 11.69% 용적률 ≫ 11.69% 최고높이 ≫ 4.75m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철근콘크리트구조 단열재 ≫ 비드법단열재 2종1호 200mm, 220mm 외부마감재 ≫ 벽 - 플라스터 외단열시스템(STO) / 지붕 – 우레탄 복합방수 창호재 ≫ 이건창호 로이복층유리 TT, FIX 에너지원 ≫ 기름보일러 전기·기계·설비 ≫ 대영ENG 시공 ≫ 건축주 직영 구조·설계·감리 ≫ 건축사사무소 주아키텍츠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 – 삼화 친환경수성페인트 도장 / 바닥 - 이건마루욕실 및 주방 타일 ≫ LAMINAM 이태리수입타일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더존테크, HSTB주방·거실·아이방 가구, 현관문·방문 ≫제작데크재 ≫ 방부목 건축가 주성용 _ 건축사사무소 주아키텍츠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학부와 대학원에서 건축공부를 하였으며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를 거쳐 2018년 건축사사무소 주아키텍츠를 설립하였다. 다양하고 실험적인 민간 및 공공 건축 작업을 통해 도시와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작업에 관심이 있다. 서울시 공공·마을건축가, 양주시 공공건축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작으로는 서울고덕동 INFILL SHOP, PARK HOUSE, 여의도초등학교 PODIUM SCHOOL, 용인고기동 ANGLE HOUSE 등이 있다. 02-6478-0078│www.jooarchitects.com
관리자
조회 295
인기
12일 전 HOUSE
선재숲 다소애가 多笑愛家
일생일대의 결정과 고민의 결정체, 집짓기. 설계부터 준공까지 파란만장한 과정과 건축가의 고민을 만나본다. 그 첫 번째는 다섯 식구의 소통을 담아낸 바닷가 숲속 집이다. 1층은 필로티 공간으로 구성된 주택의 모습. 덕분에 주차는 물론, 비 오는 날에도 다용도 공간으로 사용이 편리하다. 2층 파사드를 감싸고 있는 곡선이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주택에 생동감을 준다 준다. 2층 파사드를 감싸고 있는 곡선이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주택에 생동감을 준다. 주택 현관문에 이르는 외부계단. 다섯 식구가 머리를 맞대고 쌓아 올린 보금자리 지금으로부터 대략 1년 전의 일이었다. 이혈룡·박현경 씨 부부에게 가장 큰 고민은 ‘가족의 회복’이었 다. 세 자녀에게 어느 시기가 중요하지 않을까마는, 사춘기와 성장, 학업이라는 인생의 폭풍과 혼란을 맞이하고 있는 지금의 아이들에게 부부는 쉬며 힐링하는 공간을 만들어주고 싶었다. 무언가 동기를 부 여해 주고 싶었고, 때론 시원하게 머리를 식힐 공간을 주고 싶었다. 부부는 집짓기라는 답을 냈고, 다섯 식구는 머리를 맞댔다. 부부는 설계와 시공의 많은 과정에서 자녀들이 배제되지 않도록 세심히 정보를 공유했다. 중요한 공정 은 공학적 기반이 있는 부부가 도면을 보며 체크했지만, 외관의 결정부터 인테리어 컬러나 조명, 가구 배치에 이르기까지 자녀들은 태블릿 PC에 도면을 직접 그려보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가족은 현장도 수없이 드나들며 청소부터 보조 까지 시공 전반을 함께했다. 현장은 순탄하게만 돌아가진 않았지만, 입 주에 이르는 과정에서 가족들은 더욱 끈끈해지고 단단해졌다. “중요 공정 때마다 휴가를 내 참여하는 바람에 내년 휴가까지 모조리 당겨 썼다”며 멋쩍어하는 부부. 부부가 보여주는, 현장에 녹아든 가족들 의 사진들에서 휴가 이상의 행복이 느껴진다. 거실에서 바라본 모습. 가족과 마주하고 소통하고 싶어했던 아내의 주문으로 독특한 아일랜드 배치가 이뤄졌다. 냉장고는 유지관리와 청소를 우선해 따로 장을 두지 않았다. 와이드한 뷰를 잡아내기 위해 큰 틀의 창호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금속 보강재를 심은 창호 프레임을 제작해 적용했다.했다. 안방과 자녀 침실에 별도의 드레스룸을 두는 대신 현관 공간을 활용해 집합수납을 위한 장을 두었다. 안방에서 시작해 거실까지 시야가 이어지는 발코니창. 일출부터 일몰까지 집 안에서 감상이 가능하다. 자녀침실 앞 복도를 길게 활용해 수납장과 세면대를 배치했다. 자녀들 방과 복도를 나누는 벽 위에는 창을 두어 자연스러운 채광을 확보하는 동시에 간단한 선반 역할을 한다. 드럼을 좋아하는 아들은 새집에서 마음껏 에너지를 발산한다. 목공벽이지만, 방음도 고려해 시공했다. 창으로는 금속 난간 대신 강화유리 난간을 둬 시야 방해를 최소화했다. 필지는 교회 옆 경사가 있는 소나무 숲으로, 대를 이어 내려오던 땅이기도 했다. 전망이 트이면서도 숲과 교회가 센 해풍을 막는 좋은 땅이었다. 담백하면서도 에지 있는 디자인이 도출되었다. 아래에서 올라오는 직접 바람을 피하고, 전망 확보와 미래 증축에 유리한 필로티 구조를 택했다. 본격적인 벌목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일부 좋은 소나무는 남겨두어 추후 가족이 외부에서 편히 쉴 정자를 만드는 데 쓸 예정이다. 기둥 타설하기 전 모습. 철근의 품질, 개수, 콘크리트 피복의 두께 등 도면과 철저히 비교하고 꼼꼼하게 따져 시공했다. 다락에 대한 고민도 있었지만, 평지붕으로 시공했다. 다락 대신 생긴 넓은 옥상은 밤하늘의 별을 보며 바비큐를 즐기는 마당이 되기도 한다. 평지붕은 박공지붕 보다 상대적으로 방수에 취약한 만큼, 구배를 줘 타설하고 수영장에도 쓰이는 방수 공법을 적용했다. 거실부터 시작되는 자녀들 공간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벽이 아닌, 추후 철거와 재구축에 유리한 목공 벽으로 분리해줬다. 필로티 공간에는 콘센트가 곳곳에 배치되었다. 차량 정비나 목공 작업에도 쓰지만, 추후 증축했을 때 큰 공사로 이어지지 않도록 미리 확보한 측면도 있다. OWNER INTERVIEW “꼼꼼한 체크가 주거 만족도를 높입니다” 합리적인 비용과 만족도라는 두 가치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면 건축주의 꼼꼼한 체크가 꼭 필요합 니다. 그중 가장 중요하게 권해드리는 건 건축도면을 수시로 보는 것입니다. 어떤 분들은 건축에 대해 알지 못하니 의미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건축가에게 기본적인 읽는 법을 익히면 설계에서 놓친 부분을 발견하기도, 눈 앞에 펼쳐지는 공정이나 자재 스펙을 이해하기에도 훨씬 수월 해집니다. 도면을 보며 수시로 현장을 챙기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마냥 방치하는 것도 좋은 건축주의 태도는 아닙니다. 관련해 권하는 것이 CCTV입니다. 현장과 사전 양해를 구하고 CCTV를 설치하세요. 현장의 급변하는 상황을 빨리 파악하고, 일부 불거질 수 있는 문제 사항을 예방하는 역 할도 해줍니다. 자녀방이 모여 있는 서측 복도. 끝에는 바닥부터 천장까지 닿는 창을 둬 시각적 갑갑함을 최소화했다. 주택 뒷마당에는 농구대와 야외조명을 설치했다. 학업으로 인해 오후 느즈막히 와도 가볍게 몸을 풀 수 있다. 소나무 숲이 아늑하게 감싸주는 주택. 라이프사이클에 맞춰 변하는 ‘대를 잇는 집’ 설계 의뢰를 받은 스타일랩 종합건축사사무소의 안응준 소장은 땅이 가진 특성, 건축주에게 ‘세 자녀 를 위한 각방’과 ‘가족의 미래’라는 화두의 큰 틀에서 방향을 잡아나갔다. “흙에서부터 주변 여건, 숲까 지 정말 탐나는 필지였다”고 첫인상을 전한 안 소장. 외관에서는 바다에 인접하며 언덕 위에 놓인 대지 가 가진 풍부한 뷰를 담아내면서, 에지 있고 단정한 스타일을 추구한 결과 필로티 위에 얹어진 커브 형 상을 갖게 되었다. ‘각방과 미래’라는 화두에서 안 소장이 도출해낸 개념은 ‘대를 잇는 집’이었다. 기둥과 슬래브로 큰 구 조를 두고, 그 안에서 가족들의 라이프사이클에 맞춰 변화를 주고자 한 것. 자녀들 공간은 구조체가 아닌 목공으로 벽을 형성하고, 자녀들이 독립하거나 결혼해 손주들이 생길 때 줄이고 또 늘리며 거실 에 다양한 역할을 부여할 수 있도록 했다. 필로티 공간도 추후 확장을 염두에 둬 공간 바닥에 미리 배 관과 배전 공사를 마쳐놓았다. 안 소장은 “급하게 지어 집에 사람이 맞춰 사는 게 아닌, 몇 대에 걸쳐 쓸 수 있는 집이 되도록 고민했 다”면서 “입주 직후 잠깐만이 아닌 늘 가족과 함께 호흡하고 지킬 수 있는 집이 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전했다. 넓은 옥상 공간은 그 자체만으로 가족의 넓은 여가 및 활동 공간이 되어준다. HOUSE PLAN 대지위치 ≫ 인천광역시 옹진군 | 대지면적 ≫ 938m2(238.74평) | 건물규모 ≫ 지상 2층 | 거주인원 ≫ 5명(부부 + 자녀 3) | 건축면적 ≫ 200.71m2(60.71평) | 연면적 ≫ 157.44m2(47.62평) | 건폐율 ≫ 21.40% | 용적률 ≫ 16.78% | 주차대수 ≫ 4대 | 최고높이 ≫ 7.67m |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벽 : 철근콘크리트, 지붕 : 무근콘크리트 | 단열재 ≫ 준불연 비드법단열재 | 외부마감재 ≫ 외벽 – 미장스톤 / 지붕 – 구 조체 위 무근콘크리트 + 에폭시 마감 | 창호재 ≫ KCC | 에너지원 ≫ 기름보일러 | 조경석 ≫ 자연석 쌓기 | 구조설계 ≫ ㈜씨온구조 민정규 대표 | 전 기·기계·소방설계 ≫ 지혁이엔지 오주명 소장 | 내부마감재 ≫ 벽 – 개나리벽지 / 바닥 – PVC 바닥재 | 욕실 및 주방 타일 ≫ 용타일 |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 주방 가구 ≫ 한샘 | 거실 가구 ≫ 수니겔러리 | 조명 ≫ 한샘 | 현관문 ≫ 백산도어 FD9039 | 중문 ≫ 초슬림 3연동 시티뷰 자 동중문 | 방문 ≫ 영림도어 | 시공 ≫ 건축주 직영 | 설계 ≫ 스타일랩 종합건축사사무소(설계 담당 : 노재현, 이주헌) 건축사 안응준 _ 스타일랩 종합건축사사무소 스타일랩 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 건축사이자 참살이 풍수연구소 선임연구원이다.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이은석 교수 연구실에서 건축석사를 취득하였고, 박정해 박사에게 풍수지리를 배웠다. 대형 건축사사무소 PM, 유명 인테리어사 실무, 종합 건설회사 현장소장 등 건축 분야를 두루 거쳤다. 대표작으로는 한남요트, 위례 은금재, 양산 스위스, 거제 라이트하우스, 서초 커브하우스 등이 있다. 유튜브 채널 ‘건물주학교’를 통해 예비 건축주들과 밀접하게 호흡하고 있다. 010-9098-9088 | www.youtube.com/c/stylelab
관리자
조회 328
인기
13일 전 HOUSE
금산 ALC 패시브하우스 동락同樂
검증된 쾌적함과 내진을 누리는 친환경 주택 금산 ALC 패시브하우스 동락同樂 ALC 조적구조는 기밀과 구조성능에 취약하다는 것도 옛말. 디테일과 아이디어로 풀어낸 첫 공인 ALC 패시브하우스를 만났다. 지붕 위 태양광 패널은 보조금 지원 규모의 두 배인 6kW를 설치했다. 단정한 파사드를 가진 주택. 각 창 위에는 외부 전동차양이 눈썹처럼 올라가 있다. 필지가 도로에 ㄱ자로 면하고 있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대지 레벨을 높이고 담장을 둘러줬다. 야트막한 언덕 위에 존재감을 뽐내는 밝은 아이 보리 컬러 주택 하나가 지어졌다. 겉보기에는 장 식이 적어 담백한 느낌을 주는 외관이지만, 의외 로 ‘우리나라 최초’ 타이틀을 하나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처음으로 공식 패시브하우스 인증 을 받은 ALC 주택’이라는 것. “‘따뜻하다’, ‘웃풍 없다’, ‘친환경적이다’라는 말 은 누구나 어떤 상황에서도 할 수 있잖아요. 저 는 그간 노력의 결과인 명확한 근거를 숫자로 갖 고 싶었어요.” 건축주는 패시브하우스 인증 이유와 함께 설명 을 이어나갔다. 부모님과 동생 가족, 3대가 지낼 집을 짓고자 했던 건축주는 여러 구조에 대해 알아보면서 ALC 조적 구조에 주목했다. 크게 두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하다고 생각했기 때문 이다. 주택이 획득한 패시브하우스 공식 인증. 우선은 구조체 자체가 단열성능을 갖추고 있기 에 향후 에너지 비용면에서 유리했다. 복잡한 구 조를 갖지 않아 일반 관리 소요도 적었다. 다른 하나는 유해 물질 배출이 0에 가까워 건강에 취 약한 연로하신 부모님과 갓 태어난 조카에게도 안심이었다. 실제로 준공 후 건축주는 8개 포인 트에 IoT 센서를 두고 꾸준히 공기질을 체크했 는데, 가구가 반입된 직후를 제외하고는 유해 물질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ALC 구조와 패시 브하우스 특성상 외관 디자인은 조금 단조로워 질 수 있었지만, 건축 목표에 대해 가족과 상세 히 대화를 나누고, 이해를 구했다. 결정이 이뤄 지자 패시브하우스 인증을 전제로 시공사와 건 축가를 찾았다. 수년간 ALC 주택을 구현해온 ‘더집’과 ‘종합건축사사무소 청목재’와 손을 잡았 고, 국내 최초 ALC 패시브하우스가 탄생했다. 주택은 2층 구성으로, 각 층에 한 세대씩 자리 한다. 1층과 2층은 구조를 대부분 공유하며 아 래층에는 부모님이, 위층에는 동생 가족이 지낸 다. 차이라면 방 개수 정도인데, 가족 모임 때 넓 은 거실이 필요했던 부모님 세대가 방이 한 칸 적은 대신 거실이 그만큼 넓어진 정도다. 이때, 넓은 거실은 마냥 쉽게만 이뤄진 것은 아니다. 넓은 거실을 위해선 그만큼 긴 장선을 가지는 ALC 슬래브 패널이 있어야 했는데, 패널의 규격 은 최대가 6m였기 때문이다. 경험이 부족한 현 장에서는 벽간 거리를 6m로 맞추는 일이 많지 만, 동락 현장에서는 패널을 보조구조물(H형강) 로 지지해 부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두 세대 모두 실내는 화이트 톤의 천연페인트를 바탕으로, 특별히 포인트를 주기보다는 바닥재 와 가구의 우드톤을 더해 내추럴한 분위기를 연 출했다. 주택의 외부는 단정하게 마무리한 가운 데, 창마다 외부 전동블라인드(EVB)가 설치되 어 눈썹처럼 독특한 인상을 준다. 벽체 중간에 는 고리들이 달려 있는데, 여름철 아이들이 외부 에서 안심하고 놀 수 있도록 차양 설치를 위해 미리 준비해놓은 것이다. 한편, 야외활동의 주 무대가 될 데크는 목재 데크 대신 천연석을 적용 해 관리요소를 줄였다. 건축사사무소 청목재의 서정수 소장은 “패시브 하우스와 ALC는 최적의 조합”이라고 설명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재료적 안정 1층 부모님 세대의 복도. 주방은 북향이지만, 경관이 좋아 상부장을 없애도 창을 비교적 크게 썼다. 2층 동생 세대의 거실. 지붕 박공선이 살아있다. . 복도쪽 욕실의 모습. 안방 욕실은 가벼운 볼일만 볼 수 있게 줄이고, 가족이 함께 쓰는 복도 욕실에 욕조와 면적을 더 부여했다. TECH금산 ALC주택에 적용된 내진-패시브 디테일 1 보강기둥 시공 내진구조설계가 적용된 이후 골조를 조적하면서, 철근콘크리트 보강기둥을 만들었다. 보강기둥은 블록의 구조 포인트에 정밀히 타공된 블록을 쌓고, 그 안에 기초콘크리트 공정에 쓰이는 연장 철근을 연결하고, 다시 그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해 만든다. 2 보강 구조물 ‘ALC는 공간을 자유롭게 만드는 데 제약이 많다’는 선입견이 있지만, 이번 현장에서 사용된 것처럼 H형강을 비롯해 기타 보강구조물을 사용한다면, ALC로 구현하지 못하는 공간은 없다. 물론, 그만큼 경험이 많은 건축가가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3 개구부 인방보 설치 인방보는 개구부, 창호 상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주택용 내력 인방보’가 적용된다. 여기에 창호 하부 부분에는 긴 방향으로 블록에 홈을 파 설계 기준에 맞춘 보강철근을 삽입하고 모르타르를 충진한다. 4 보강기둥 및 테두리보 결합 외벽 모서리와 일정 길이 이상의 벽체에는 현장 타공으로 지름 150mm 이상의 보강기둥이 만들어진다. 이후 해당 층의 조적이 완료되면 보강철근이 삽입되고, 일체화 시공을 위해 테두리보 철근과 결속 후 모르타르 충진이 진행된다. POINT 1_외부 전동차양 늘 일정한 실내 기온 유지를 목표로 하는 패시브하우스에 있어 실내 일사량 조절은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 외부 전동차양은 에너지 차단 효과가 큰 실외에서 역할을 수행한다. POINT 2_열회수환기장치 높은 기밀성능을 가지는 패시브하우스 내의 공기를 최소화한 열손실만으로 환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다. 이 장치 내에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는 서로 열을 교환해 배출 또는 유입된다. POINT 3_대류 디퓨저 ALC는 함수율과 실내 습도 제어가 관건. 벽체가 드러나는 부분은 통기성 있는 마감재를 적용하고, 이것이 어려운 천장이나 붙박이장에는 디퓨저를 장착해 습기가 정체되지 않고 대류·순환되도록 했다. 5 바닥 및 지붕 슬래브 패널 시공 두께 250mm(바닥), 200mm(지붕), 길이 최대 6m까지 생산되는 슬래브 패널은 양쪽 면이 일정 규격으로 가공되어 배치 시 패널 사이에 보강 철근을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최종적으로 테두리 보에 배근된 철근에 정착돼 서로 일체화 된다. 6 전용 모르타르 시공 및 기밀 작업 패시브하우스라고 해서 특별히 다른 소재나 신공법이 적용된 것은 아니었다. 전용 모르타르를 규정에 맞게 충실히 채워 조적하는 것만으로도 누기를 막을 수 있었고, 외부 배출 타공 및 창호 시공 시 기밀 자재 적용에 특히 신경 썼다. 7 추가 단열 및 마감 미장마감재를 선택할 때는 추가 단열 시 경도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며, ALC와 물적 성질이 동일한 에어셀이나 미네랄울보드(140kg/cm2 이상)가 이용된다. 전용 접착제를 테두리에 끊김 없이 도포하고 열교방지 화스너로 고정했다. 8 기밀, 열교 및 단열성능 한국패시브건축협회의 최종 점검 후 결과는 기밀성능 0.26(n50), 에너지 성능 2.1ℓ. 패시브하우스에서도 최상급으로 나타났다. 이는 벽체부터 지붕까지 모든 구조체를 ALC로 구성하는 ‘ALL-ALC’ 구조였기에 가능한 결과였다. ZOOM IN. IoT 활용 주택 관리 주택에 상시 머물기 어려운 건축주는 실내 곳곳에 기온, 습도와 미세먼지, TVOC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두어 체크하고 있다. 특히 ALC 패시브하우스는 실내 온도 및 습도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준공 후 꾸준히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적절한 환기와 기계적 제습이 이뤄지기도 하고, 마찬가지로 IoT로 연동된 외부 전동차양과 난방을 조절해 실내 온도를 조정하기도 한다. 석재 데크를 넉넉하게 깔고, 바로 옆으로 외부 수돗가도 여유롭게 둬 가족이 모여 하는 외부활동에도 편리하다. 대지는 얼마간 성토해 전망을 충분히 확보했다. 위에서 내려다본 주택 필지가 단정하게 정리되어 있다. 성 덕분에 단열, 열교, 기밀 관리가 필수인 패시 브하우스에 정확히 부합한다는 것. 다만, 정확 한 전용 자재와 시공 디테일이 필수인 만큼 충분 히 경험 있는 전문가들과의 작업을 권했다. 건축주도 “시공과 건축사를 선정할 때 최소 2~3 년 이내의 포트폴리오와 해당 건축주를 꼭 만나 보라”며 설명을 보탰다. 의외로 준공 이후 남보 다 못한 사이가 되어 연락이 끊기는 경우도 있는 데, 건축 과정은 변수의 연속에 소통이 크게 중 요한 만큼 이전 건축주로부터의 평가를 챙기는 것이 좋다고. 취재 중 일을 마치고 돌아온 건축주의 부모님은 수줍어하면서도 새로 지은 집에 대한 애정을 아 낌없이 펼쳐 보였다. 따뜻함은 물론, 처음 입주 했을 때부터 공기에서 기분 좋음을 느꼈다는 두 분. 새집에서의 상쾌함과 행복을 이야기하는 모 습에서 건축주의 노고와 집에 대한 자부심이 느 껴지는 듯했다. HOUSE PLAN 대지위치 ≫ 충청남도 금산군 대지면적 ≫ 983m2(297.35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거주인원 ≫ 5명(부모님 + 부부 + 자녀 1) 건축면적 ≫ 112.04m2(33.89평) 연면적 ≫ 198.64m2(60.08평) 건폐율 ≫ 11.40%(법정 60% 이하) 용적률 ≫ 20.21%(법정 80% 이하) 주차대수 ≫ 3대 최고높이 ≫ 9.10m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벽 : 쌍용 ALC 블록 / 지붕, 바닥(2층) - 쌍용 ALC 슬래브 패널 단열재 ≫ 벽 – 미네랄울 보드 140K 100mm / 지붕 – 그라스울 40mm(가등급) + 140mm(나등급) 외부마감재 ≫ 외벽 – STO 미장마감시스템 / 지붕 - 알루징크 담장재 ≫ 두라스텍 큐블록 창호재 ≫ 엔썸 케머링 독일식 시스템창호(에너지등급 1등급) 외부블라인드 ≫ ㈜롤라덴 전동 롤러셔터 열회수환기장치 ≫ Domekt R 300 V 기밀도(n=50, 1/h) ≫ 0.26 난방성능 ≫ 20.63kWh/㎡·yr 에너지원 ≫ LPG 토목설계 ≫ 신화 토목측량 설계사무소 보강토 ≫ 해성토건 구조설계 ≫ 조우엔지니어링 설계 ≫ 종합건축사사무소 청목재 02-2058-3339 https://blog.naver.com/soomok737 시공 ≫ 더집 010-2324-1591 https://blog.naver.com/aiku70 취재협조 ≫ 쌍용 ALC 기술연구소 010-5326-4264 www.syc-alc.co.kr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 – 아우로(AURO) 천연페인트 도장 / 바닥 – 한샘 강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 동서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주방·붙박이장·가구 ≫ 한샘 실내 블라인드 ≫ ㈜보라커텐시스템 트리플 블라인드 계단재·난간 ≫ 멀바우 조명 ≫ 대전 ㈜비춤 현관문 ≫ 살라만더 현관문 방문 ≫ 예림도어(방염) 데크재 ≫ 이탈리아산 천연석재(포피리 라스트라메)
관리자
조회 313
인기
2025.07.22 HOUSE
신애리 주택
HOUSE 신애리 주택 동네를 오가는 이들이 발걸음을 멈추고 예쁘다며 한마디씩 거드는 집. 디자인은 물론 기능까지 충실한, 잘 지은 그 집을 찾았다. ARCHITECT 자연을 곁에 둔 삶 북측 정원에서 본 주택의 전경. 기존 나무와 수풀들이 자연 병풍처럼 건물을 둘러싸고 있다. ‘설계만 하지 말고 직접 한 채 지어서 팔아보자!’ 언제인지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아주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생각이었다. 2018년 초여름, 더는 뒤로 미룰 수 없다는 마음으로 집짓기를 시작했다. 그동안의 개발사업 경험과 부동산 및 도시계획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는 자신감으로 땅을 찾아 헤맸다. 하지만, 역시 발품을 파는 일은 쉽지 않았다. 자격증보다는 끈기와 집념이 필요했다. 좀 시간이 걸리더라도 천천히, 그리고 꼼꼼하게 대지를 고르기로 하였다. 그러다 우연히 지금의 대지를 발견했다. 대지의 북쪽에는 국유지로 된 좁은 산길이 있고, 그 길 위에 매우 큰 나무 한 그루가 있었다. 이 길은 마을회관으로 통하는 오솔길인데, 하루에 3~4명 정도의 주민들이 이용하였다. 남쪽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낮아졌고, 육안으로 그 높이차는 대략 3m는 되어 보였다. 조용하고 평온하며 햇볕이 잘 드는 남향 경사의 땅. 나는 이 대지를 매입했다(이후 볼 수 있었던 겨울 풍경도 너무 멋졌다). ‘팔기 위해서 팔기 싫을 정도의 집을 만들자’가 이 집의 디자인 개념이다. 집의 기능적 측면은 물론이거니와, 특별한 공간을 정말로 예쁘게 만들고 싶었다. 내가 의도한 바를 다른 사람들도 공감할 수 있으려면, 구체적인 사물 또는 현상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았다. 실제로 보이고 느껴지는 것들에 대한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이와 더불어, 예쁜 집을 만들기 위해서는 색채와 재료의 맞춤도 가볍게 볼 수 없었다. 먼저 북쪽의 멋진 나무. 집이 남쪽에 있으면, ‘햇빛을 받는’ 나무를 볼 수 있다. 이 아름다운 나무를 바라보는 조망을 극대화하기로 했다. 나무가 큰 만큼 나무를 보여주는 창문도 크게 하고, 나무를 보는 공간도 크고 극적으로 만들었다. 따라서 이 공간은 집의 주된 공용 공간이 된다. 거실과 주방을 배치하고, 큰 나무와 규모를 맞추기 위해 천장은 높게, 재료와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 노출된 목조지붕을 선택했다. 이는 지붕 처마 면까지 올라오는 큰 창을 통해 외부 장식 요소로 활용된다. 공을 많이 들인 내부의 건축디자인 요소를 외부 입면 디자인 요소로 사용한 것이다. 또한, 2층 바닥은 북쪽 정원보다 다섯 계단 정도 높였다. 이로 인해 나무와 함께 정원의 잔디도 조망할 수 있고, 정원과 오솔길을 내려 보게 되었다. 혹여 오솔길로부터 시선 침해가 불편할 수도 있어 창 중앙에 커튼을 설치했다. 물론 커튼을 닫아도 안에서 나무는 볼 수 있고, 소파나 바닥에 앉은 사람들은 밖에서 보이지 않지만, 조명을 받는 목조 노출 천장은 확인할 수 있다. 남쪽으로도 큰 창을 만들었다. 북쪽 창보다 작다는 느낌이 들면 북향집이 되어버리니 남측 창의 창문턱 높이 등을 잘 조절하여 북측 창과 대칭을 이루게 했다. 건물을 정면에서 바라보면, 남측 창은 북쪽의 나무와 일렬로 서 잘 정렬된 느낌이 든다. 북쪽 정원에서 집을 보면, 이 큰 창들을 통해 집 너머 나무와 하늘까지 담기며 마치 거실과 주방이 외부 공간처럼 보인다. 큰 창으로 이미 2층 거실 벽면의 절반이 자연스러운 색들로 채워졌고, 여기에 맞춰 나머지 면들을 나무, 콘크리트, 그리고 하얀색으로 마감했다. 바닥은 자작, 천장은 미송, 벽면은 콘크리트 노출면을 배경으로 가구를 배치하였다. 계단실이 상하부로 나뉜 느낌이 들지 않도록 2층 바닥의 재료가 바닥판 측면을 감싸고 1층 천장까지 내려오게 했다. 반대로 1층 바닥은 하얀색으로 대비시켰다. 이 색채계획은 1층에 있는 방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콘셉트가 그대로 현실이 되어 팔기에는 너무 아까운 집이 되고 말았다. 정이 들어서인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우선 나의 사무실 겸 주말주택으로 사용하려고 계획을 변경 중이다. 초저녁 나무 아래 앉아 집을 바라보며 커피를 한잔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나와 가족, 친척들 그리고 친구들이었으면 좋겠다. 대학원 시절, 사회학과 소비문화에 관심을 갖게 된 이후로, 건축 디자인에 반영되어야 할 무언가가 있을 것 같은 막연한 생각들이, 지금 아주 간단하고 역설적인 개념으로 정리가 된 느낌이다. ‘팔기 싫을 정도의 집을 만들자’라고. 1 정원에서 보이는 내부의 목구조 천장이 멋스럽다. 2 집을 짓기 전 계절에 따라 변하는 대지 3 주변 나무와 어우러진 남측 창과 박공지붕선 4 주차장 및 현관 쪽 모습. 캐노피 지붕과 우편함을 같은 소재로 제작하고, 가스관에는 은분을 칠하여 부착된 각종 설비 요소의 색상을 맞췄다. 기단 부분은 건축물의 입면 재료와 동일한 벽돌을, 바닥은 벽돌색과 유사한 자연 자갈을 포설했다. 5 북측 현관과 이어지는 테라스는여름에 그늘이 잘 형성되어 이곳에 선베드나 야외 벤치를 두면 활용도 높은 공간이 된다. 7 커다란 창문을 통해 남측 정원으로 연결되는 1층 다용도 방. 외부 콘크리트 담장은 도로에서의 시선을 차단해준다. 누워있을 때 보게 되는 천장에 포인트를 주기 위해 자작합판을 사용했으며, 붙박이장 문도 마치 천장에서 내려온 것처럼 같은 재료로 마감했다. 8,9 현관 정면에는 큰 수납장을 설치하고, 이 수납장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침실, 우측에는 화장실과 거실로 오르는 계단 등이 배치되었다. 계단참에서는 오른쪽 북측 정원으로 바로 나갈 수 있다. 10 4m의 주방 아일랜드에는 많은 수납 기능을 넣어 실용성을 더했다. 11 2층 거실 및 주방. 집과 나무를 연결하는 남북방향 축을 따라 왼쪽 콘크리트 노출 벽면을 배경으로 가구들이 하나씩 제자리를 찾았다. 천장 펜던트 조명과 바닥의 헤링본 패턴 역시 남북방향 축에 맞췄다. 12 집 어느 곳에서도 주변 풍경을 막힘없이 즐길 수 있는 내부. 자작합판과 매우 유사한 원목마루를 채택하여 바닥 전체를 통일시키고, 난간은 강화유리로 시선을 최대한 개방해주었다. 북쪽 현관 역할을 하는 계단참에는 벤치를 만들어서 작은 휴식공간을 조성하였다.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양평군 대지면적 ▶ 382m2(115.55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건축면적 ▶ 58.3m2(17.67평) 연면적 ▶ 112.3m2(34.03평) 건폐율 ▶ 15.3% 용적률 ▶ 29.4% 주차대수 ▶ 2대 최고높이 ▶ 6.12m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철근콘크리트 / 지붕 – 2×12 S.P.F 구조목 단열재 ▶ 비드법단열재 2종3호 외부마감재 ▶ 치장벽돌 담장재 ▶ 노출콘크리트 창호재 ▶ 윈센창호 39mm 로이삼중유리 알루미늄 시스템창호 2등급 에너지원 ▶ LPG 구조설계(내진) ▶ 이든구조 시공 ▶ 무이주택(서도원, 윤희청) 설계 ▶ 무이건축사사무소 총공사비 ▶ 3억원(토지 매입비 제외, 설계 및 시공 관리 인건비 제외) CONCEPT 큰나무숲 나무가 있는 북쪽 정원의 거실/주방 이웃집 북측정원 다용도방 남측정원 높이를 기준으로 정원과 거실을 연계하고, 거실의 높이를 정원보다 약간 경사 올렸다. 또한, 거실 남측은 이웃집에 의해 조망이 가리지 않도록 했다. PLAN ① 현관 ② 다용도방 ③ 안방 ④ 화장실 ⑤ 복도 ⑥ 세탁실 ⑦ 출입구 ⑧ 샤워실 ⑨ 보일러실 ⑩ 진입마당/주차장 ⑪ 남측정원 ⑫ 서측정원 ⑬ 창고 ⑭ 테라스 ⑮ 거실 주방 식당 텃밭 북측정원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 – 친환경 페인트(삼화) + 노출콘크리트 위 발수코팅, 친환경 페인트(벤자민무어), 모자이크타일 / 바닥 – 포세린 타일, 모자이크타일, 노바 원목마루 / 천장 – 자작나무 합판, 친환경 페인트(삼화), 미송합판 및 구조목 노출 주방 가구 ▶ 공간연구소(세면대 하부장, 현관장 포함) 조명 ▶ 자체 제작(서도원, 윤희청) 계단재 ▶ 자작나무 합판 현관문 ▶ 윈센창호 방문 ▶ 방 – 문풍지도어(아르곤도어, 3연동 양개도어) / 욕실 – 예림도어 데크재 ▶ 치장벽돌 건축가 서도원 _ 무이건축사사무소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와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을 졸업했다. 르 꼬르뷔제의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로 건축공부가 시작되었고, 장 보들리야르의 ‘소비의 사회’를 접하면서 사회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도시계획 및 건축설계 회사에서 실무 경험을 쌓고 2019년에 건축사가 되면서 개인사무소를 설립했다. ‘오직 하나뿐이고 둘 이상은 없는(無二)’ 공간을 설계하고자 한다. www.mu-e.net 취재 김연정 사진 신경섭
관리자
조회 1,315
인기
2025.05.07 HOUSE
상가 리모델링으로 수익성과 디자인 가치를 잡다
상가 리모델링으로 수익성과 디자인 가치를 잡다 논현동 도심 상가 재생 프로젝트 오랫동안 공실로 방치되던 도심 속 낡은 상가 건물. 임대 물건으로서의 매력과 사용의 편의를 위해 대수선이 불가피했다. 준공된 지 30년이 넘은 건물의 환골탈태 과정을 따라가 본다. PART1 논현동 근생 빌딩 사전 분석 상업건물 리모델링을 전문적으로 수행해 온 ‘시공조아’가 마주한 건물은 지하 2층, 지상 5층 규모, 연면적 580여 평의 상업·업무 빌딩이었다. 1991년 12월에 준공된 건물로 2022년을 기준으로 30년을 꽉 채운 상황이었다. 지하는 사우나로, 지상은 사무실과 주거가 혼재해 쓰였다. 건물은 세월에 따라 노후화되었고, 외관도 1990년대에 흔한 디자인으로 다른 건물과 비교했을 때 특색이 있지는 않았다. 다만, 신축하기에는 외관과 구조는 비교적 무난하고 비용 측면에서도 부담이었다. 건축주와 시공조아는 신축보다 리모델링을 전제로 접근했다. 건축주는 기업을 경영하고 있어 건물의 반 정도를 사옥으로 사용할 목적이었다. 상가는 통상적으로 입주자가 인테리어를 하지만, 이곳은 건축주의 기업이 입주해야 하기에 리모델링에 더해 인테리어에 대한 소요도 있었다. 한편 리모델링(대수선) 비용에 대한 건축주의 고민도 적지 않아 비용 자체와 투자 대비 수익성을 고려해야 했다. 1.오래되어 오염이 많았던 석재와 타일을 제거하고 브라운과 아이보리의 세련되고 따뜻한 컬러를 롱브릭 타일과 스터코,루버로 조합했다. 2.루버가 긴 터널을 만드는 측면 통로 겸 주차공간.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해 다양한 차량 상황에도 대응했다. 3.입구에는1m길이의 처마를 내 실내로 들이치는 비나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게 했다. PART2 시공조아의 리모델링 제안 리모델링을 통해 디자인과 공간 활용에서 큰 변화를 줬다. 외관에서는 기존의 석재와 타일 마감을 걷어내고 저층부는 롱브릭 타일을, 2층부터 5층까지는 스터코로 마감했다. 여기에 시공조아는 파사드에 줄 디자인 포인트로 금속 루버 마감을 제안했다. 금속 루버는 건축물에 특별함을 부여하면서 임차인 변화나 건물 매도 등 상황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공간에도 변화를 줬다. 가장 큰 부분은 지하 1층의 재발견이다. 건물은 전면에서의 지하 1층이 후면에서는 도로에 면하지만 그저 벽면이었던 구조였는데, 이전에는 활용하지 않은 지하 1층 후면이 도로로 열리도록 대수선해 ‘1층’ 매장이 두 개가 되는 수익 및 가치 증대 효과를 냈다. 비용 측면에서도 구조 보강과 외관 리모델링, 내부 정리를 평당 250만원 선에서 해결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 투입으로 건물 가치를 극대화하는 가성비도 잡아낼 수 있었다. 시공조아 김지환 대표는 이번 프로젝트를 평가하며 “기존 건물의 특징을 살리고 장점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큰 가치로 돌아오기도 한다”며 “건축법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신축 대비 리모델링이 이득을 볼 수 있는 상황도 많다”고 조언했다. 4,5무채색의 콘크리트 벽 뿐이었던 후면은 새로운‘1층’공간을 만들면서1층 테라스 조성으로 분위기를 밝고 다채롭게 만들었다. 6금속 루버 마감은 건물에 특별함을 부여하면서‘사옥’이라는 용도의 정체성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디자인 요소이기도 하다.단조로웠던 파사드는 금속 루버의 활용을 통해 입체적인 변화를 가지게 되었다. PART3 리모델링 체크 포인트 BEFORE 기존 건물도 지하 1층(사우나), 지상 1층(상가)을 제외한 공간(2층~5층)은 사옥으로 사용하였으나, 큰 특징이 없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노후화된 외관을 가지고 있었다. 외관 변화와 공간 활용, 기능 개선 등이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TECH POINT 기존 엘리베이터가 작아 확장이 필요했다. 기존 면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뒤쪽으로 공간을 확장, 자체 제작한 엘리베이터를 설치했다. 내부 벽체의 스틸 스터드 사이에 단열재를 취부했다. 단열재는 단열 성능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방음과 차음 성능도 기대할 수 있다. 건축물 에너지 손실의 상당 부분이 창호 및 개구부를 통해 발생한다. 에너지 성능을 높인 창호로 교체하고 틈새는 기밀 폼을 충진했다. 슬래브의 경우 구조용 탄소섬유(왼쪽)를 시공하고, 보의 경우 구조용 강판 부착 후 고강도 에폭시 수지를 주입해 구조를 보강했다. 내부 계단으로 인한 수직 개구부는 그 기능을 삭제하고, 비는 바닥을 철근을 배근해 새로 슬래브를 만들어 실내 면적으로 확보했다. 전면에 있던 창을 구조 보강과 함께 크기를 확장해 보다 나은 뷰와 채광을 확보했다. 전후면에는 롱브릭타일과 함께 금속 루버 마감재를 적용했다. 다른 건물과 차별화되는 디자인 포인트로 추후 건물 매도 시 큰 공사 없이 디자인 변경이 가능하다. 옥상은 방수 후 페데스탈 건식 데크를 시공했다. 건식 시공이어서 바닥재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배수가 원활해 누수 하자를 줄일 수 있다. PART4 논현동 근생 빌딩 사전 분석 논현동 프로젝트의 상층부는 IT 기업이 입주하기에 깨끗하고 밝은 톤의 따뜻한 느낌을 주는 방향으로 인테리어가 디자인되었다. 그러면서도 층마다 공간 컬러와 배치의 변주를 주어 자칫 실내가 단조로워지지 않도록 했다. 대수선으로 넓어진 창으로 확보된 뷰와 풍부한 채광도 극적인 분위기 변화에 큰 역할을 했다. REMODELING PLAN 대지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대지면적 :486.8㎡(147.25평) 건물규모 : 지상 5층 + 옥상 건축면적 : 241.92㎡(73.18평) 연면적 : 1,914.70㎡(579.19평) 건폐율 : 49.70% 용적률 : 245.87% 주차대수 : (법정)옥내 자주식 7대, 옥외 자주식 2대 최고높이 : 17m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일부 내부 벽체 시멘트벽돌 조적) 외부마감재 : 롱브릭 타일, 스터코, 금속루버 원 준공년도 : 1991년 12월 공사기간 : 8개월 설계 : ㈜mm2 시공 : ㈜시공조아 1899-1343 www.sigongjoa.com 구성 신기영 | 사진 변종석, 건축가 제공 <!--[data-hwpjson]{ "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1, "dv": 0, "dr": 1, "do": 1, "vj": "1.1", "an": "Hancom Office Hangul", "av": "12, 0, 0, 3747", "ao": "WIN", "ab": "32", "ar": "LE", "as": "Windows_10" }, "dis": false, "ds": { "ti": "", "la": "ko", "cr": "", "su": "", "de": "", "cd": "2025-05-07T01:43:50.395Z", "ke": "" } }, "dh": { "do": { "pa": 1, "fo": 1, "en": 1, "pi": 1, "tb": 1, "eq": 1 }, "fo": [ ], "cd": { "tp": 0, "lc": { "af": false, "ui": false, "fu": false, "dn": false, "ul": false, "el": false, "at": false, "tq": false, "da": false, "dw": false, "dj": false, "bc": false, "bu": false, "al": false, "ab": false, "ap": false, "an": false, "aa": false, "ds": false, "de": false, "as": false, "cp": false, "ao": false, "et": false, "ay": false, "am": false, "a1": false, "bt": false, "av": false, "dh": false, "dp": false, "d1": false, "mf": false, "bl": false, "ag": false, "dg": false, "ae": false, "df": false, "do": false, "dl": false, "di": false, "d2": false, "d3": false, "ob": false, "d4": false, "ev": false, "d5": false, "d6": false, "a2": false, "dc": false } }, "ld": { "pa": "", "pi": true, "fo": false } }, "bf": { "01DBBEF185BFD8E000000062": { "id": 1,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 }, "01DBBEF185BFD8E000000063": { "id": 2,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0, "al": 0, "hs": -1 } } }, "01DBBEF185BFD8E000000064": { "id": 3,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10066329, "al": 0, "hs": -1 } } } }, "cp": { "01DBBEF185BFD8E000000065": { "id": 0,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11, "o2": -11, "o3": -11, "o4": -11, "o5": -11, "o6": -11, "o7": -11,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6": { "id": 1,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7": { "id": 2,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2, "s2": -2, "s3": -2, "s4": -2, "s5": -2, "s6": -2, "s7": -2,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8": { "id": 3,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4, "s2": -4, "s3": -4, "s4": -4, "s5": -4, "s6": -4, "s7": -4,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9": { "id": 4,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1, "s2": -1, "s3": -1, "s4": -1, "s5": -1, "s6": -1, "s7": -1,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A": { "id": 5,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4, "s2": 4, "s3": 4, "s4": 4, "s5": 4, "s6": 4, "s7": 4,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8, "o2": -8, "o3": -8, "o4": -8, "o5": -8, "o6": -8, "o7": -8, "it": false, "bo": tru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B": { "id": 6,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tru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C": { "id": 7,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2, "r2": 102, "r3": 102, "r4": 102, "r5": 102, "r6": 102, "r7": 102,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D": { "id": 8,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2, "r2": 102, "r3": 102, "r4": 102, "r5": 102, "r6": 102, "r7": 102,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tru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E": { "id": 9,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4, "s2": 4, "s3": 4, "s4": 4, "s5": 4, "s6": 4, "s7": 4,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11, "o2": -11, "o3": -11, "o4": -11, "o5": -11, "o6": -11, "o7": -11, "it": false, "bo": tru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6F": { "id": 10,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70": { "id": 11,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BEF185BFD8E000000071": { "id": 12,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BEF185BFD8E00000006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0, "r2": 100, "r3": 100, "r4": 100, "r5": 100, "r6": 100, "r
관리자
조회 2,491
인기
2025.03.31 HOUSE
전원주택의 품격을 바꾸는 주방의 프리미엄, 아티잔 심리스
《전원주택의 품격을 바꾸는 주방의 프리미엄, 아티잔 심리스》 - 전원주택 주방의 품격을 높이다 자연의 여유로움과 세련된 디자인이 어우러지는 전원주택. 이곳에는 아름다움과기능이 완벽하게 어우러진 요소들이 필요하다. 사각 싱크볼 전문 브랜드 아티잔이 선보인 '심리스' 시리즈는 이런 공간에 특별한 가치를 더하는 혁신적 디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 완전히 새로운 기준 [심리스의 철학] 아티잔의 2025년 새 제품 '심리스시리즈'는 싱크볼과 배수구 사이의 경계를 부드럽게 이어 만든 일체형 디자인이다. 고급 스테인리스 소재를 정교하게 용접해 만든 원-피스 디자인 싱크볼은기존 플라스틱 마감 배수구의 한계를 세련되게 넘어섰다. 연결 부위가 매끄럽게 이어져 청소가 쉽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자가 관리가 중요한 전원주택에서 이런편리함은 큰 매력으로 다가온다. 단순히 '예쁜' 싱크볼일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를 더하는 싱크볼이다. -장인의 기술로 만든 ‘듀얼 패턴’ 기술 아티잔 심리스 엠보 모델에 담긴 기술은 브랜드의 장인 정신을 보여준다. 싱크볼바닥은 정교한 엠보 처리로 스크래치에 대한 내구성을 높였고, 벽면은 섬세한 헤어라인으로 고급스러운 느낌을완성했다. 투명한 나노 코팅이 더해져 일상의 오염으로부터 싱크볼을 보호한다. 이런 디자인은 주방의 완성도를 높이고, 일상의 수고로움을 확실히줄여준다. 덕분에 전원주택에서의 여유로운 삶을 더욱 편안하게 누릴 수 있다. - 소비자가 인정한 가치 시장 반응 또한 눈부시다. 심리스 제품은 와디즈 크라우드 펀딩에서목표 금액의 12,000% 이상을 달성하며 준비한 물량을 모두 소진했다. 2025년 스포츠서울 '한국 소비자선호도 1위브랜드대상'을 수상하며 한국의 대표적인 싱크볼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고객과 함께하는 브랜드 아티잔은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것에 멈추지 않는다. 전문 고객 지원팀을항상 운영하며, 제품 설치 후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꼼꼼히 관리한다. 건축가와 시공사, 전원주택 건축주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브랜드신뢰도 측면에서 업계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간다. -자연과 어우러지는 주방의 완성 전원주택에서 주방은 단순한 요리 공간을 넘어 가족이 모이는 소통의 장이자, 자연과연결되는 공간이다. 아티잔의 심리스 싱크볼은 공간에 세련된 멋과 실용성을 더하며, 건축가와 주택 소유자 모두에게 영감을 주는 디자인이 된다. 아티잔의심리스 싱크볼이 전원주택에 어떤 가치를 더해줄지, 지금 그 가능성을 경험해보는 건 어떨까. 글_김진아 l 구성_편집부 l 자료협조_아티잔 ⓒ월간 전원속의 내집 / www.uujj.co.kr
관리자
조회 3,364
인기
2025.03.10 HOUSE
웃음이 넘치는 아산주택 소소산방 笑笑山房
웃음이 넘치는 아산주택 소소산방 笑笑山房 고향 땅에 둥근 중정과 날렵한 박공지붕을 모두 갖춘 주택을 지었다.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도 실내외가 개방감 있게 통하는 소소산방에서 가족들,이웃들과 함께하는 웃음 가득할 하루하루를 기대하면서. 유서 깊은 맹 씨 종가댁의 종손인 건축주 부부는 서울에서 지내다 은퇴 후 고향인 아산으로 돌아가 거주할 집을 짓기로 했다. 남편이 나고 자란 맹사성 고택의 인근 땅을 수년간 기다리다 구하게 되었다. 그 후 여러 건축가를 만나 상담을 받았지만, 돌아오는 것은 모든 로망을 실현하기는 어렵다는 대답뿐이었다. 그러다 이번 주택의 설계를 맡은 제로리미츠건축사사무소의 김종서 소장을 만나게 되었다. 어떤 건축가보다도 대지가 위치한 고장의 정서와 여건, 건축주들의 요청 사항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모습에 믿고 의뢰를 맡겼다. 한편 대지는 조용한 시골 마을이지만, 초등학교와 농가 창고 등이 인접해 상상했던 여유로움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채광이 그리 불리하지 않았지만, 조망은 한정적이었고 형태 또한 삼각형으로 건물 배치에 유리하지는 않았다. 법적으로는 도로 완화 심의를 거쳐야지만 허가를 진행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김소장은 전원과 도심의 경계에 위치한 대지의 단점과 한계를 극복하고 이형의 삼각형 대지에 순응할 수 있는 전략으로 원형의 중정을 계획하였다. 주택의 일부를 열어 선택적으로 양호한 조망을 내부로 끌어들이고 나머지는 닫음으로써 학교와 창고, 통학로로부터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주변의 단층 위주의 건물들은 한옥과 박공지붕의 형태를 지니고 있었고, 주변 건물과의 조화를 위해 중정을 중심으로 한 경사지붕을 계획하여 최대한 주변과 조화로운 건물이 되도록 했다. 마감재 또한 맹사성 고택 및 주변의 한옥 회벽의 색과 자연 담장의 질감에 가까운 느낌을 찾기 위해 노출 콘크리트 위 현장 목업을 몇 차례 진행하여 주변과 어울리는 색감을 찾고자 하였다. 1층은 오랜 교직 생활 끝에 외국어고등학교 교장직에서 은퇴한 남편과 서울에서 미용학원을 운영하는 아내가 주로 거주할 공간이었고, 2~3층은 여름 한두 달 동안 해외에서 들어온 딸들의 가족들이 거주할 공간이었다. 건축주는 이 두 공간이 같은 공간이면서도 서로의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해 분리되길 희망했다. 특히 1층의 거실과 주방은 모든 가족이 함께 모여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규모의 공간으로, 2층은 별도의 간이 주방 배치를 요청했다. 또한 ‘모범 장서가상’을 탔을 만큼 애서가인 남편을 위한 벽면 전체를 두른 책장과 외부 공간을 충분히 누릴 수 있는 개방감 있는 욕실을 희망했다. 최근 어려워진 시공 환경에 예상 이상의 시공 비용으로 부득이 건축주 직영공사를 선택하였고, 초기 계획되었던 여러 요소가 변경되었지만, 건축주 부부는 가족, 이웃들과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웃음이 넘치는 ‘소소산방’이라는 주택 이름처럼 말이다. 깊은 현관 포치는 날씨에 변수가 있거나 짐이 많을 때 유용하다. ‘소소산방’ 문패 그림은 딸이 직접 그렸다. 조형적 요소가 두드러지는 주택 외관. 그러면서도 자연과 잘 어우러지는 컬러의 외장재를 사용해 마을과 조화롭다. 실내 천장과 벽, 바닥은 깨끗한 화이트로 마감하고 컬러풀한 소품으로 포인트를 줬다. 중정의 곡선을 따라 거실과 주방 공간을 설계해 실내에서도 둥근 공간감을 느낄 수 있다. 남편방의 욕실에는 거동의 편리함을 위해 안전바와 의자를 설치했다. 아내방으로 향하는 복도는 그림 액자와 꽃, 화분을 두어 화사하게 꾸몄다. 화분 키우기를 좋아하는 건축주를 위해 거실 TV 벽면에는 기다란 창을 내 화분들을 올려두고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독서를 즐기는 남편이 특별히 요청한 책장. 가지고 있던 장서들을 대부분 기부했는데도 평생에 걸쳐 읽고 모은 책들이 많아 책장이 꽉 찼다. 현관 바로 옆으로 계단실을 적용해 1층과 2층의 출입 동선을 분리했다. 계단실에 걸린 그림들은 딸이 직접 그린 작품이다. 2층과 3층 침실을 연결하는 공간이 네모나게 뚫려있어 간단한 집안일을 하면서 아이들을 돌보기에 용이하다. 3층 침실에서 내려다본 2층 전경. 중정을 따라 난 통창과 측면의 테라스 공간으로 개방감 있는 실내 생활을 누릴 수 있다. 테라스에서는 마을 풍경을 한눈에 조망하며 바비큐 파티, 티타임 등 가족들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도로와 면해 있는 쪽은 크기가 작은 창들을 최소한으로 적용해 프라이버시 보호에 힘썼다. 제각기 다른 형태의 창은 주택에 새로운 표정을 더한다. HOUSE PLAN 대지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대지면적 :433㎡(130.98평) 건물규모 :지상 3층 거주인원 : 9명(상시 거주 2명) 건축면적 : 139.37㎡(42.15평) 연면적 :197.56㎡(59.76평) 폐율 : 32.18% 용적률 : 44.93% 주차대수 :2대 최고높이 :9.4mm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단열재 : THK135 압출법보온판 가등급 단열재 외부마감재 : 외벽 – 노출콘크리트 위 도장 마감 / 지붕 –컬러강판 창호재 : AL 시스템창호 에너지원 :LPG 전기·기계·설비 :성지이앤씨 구조설계(내진) : 이든구조 시공 :건축주 직영 설계·감리 : ㈜제로리미츠건축사사무소 02-714-3006 www.zlarchitecture.co.kr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천장 –도배 / 바닥 – 이건마루 GENA TEXTURE 욕실 및 주방 타일 : JS세라믹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계단재 :목재 계단판 현관문 : 커스텀도어 데크재 : 우드타일 조경석 : 부정형판석 기획 오수현 | 사진 변종석 <!--[data-hwpjson]{ "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1, "dv": 0, "dr": 1, "do": 1, "vj": "1.1", "an": "Hancom Office Hangul", "av": "12, 0, 0, 3747", "ao": "WIN", "ab": "32", "ar": "LE", "as": "Windows_10" }, "dis": false, "ds": { "ti": "", "la": "ko", "cr": "", "su": "", "de": "", "cd": "2025-03-10T04:41:26.410Z", "ke": "" } }, "dh": { "do": { "pa": 1, "fo": 1, "en": 1, "pi": 1, "tb": 1, "eq": 1 }, "fo": [ ], "cd": { "tp": 0, "lc": { "af": false, "ui": false, "fu": false, "dn": false, "ul": false, "el": false, "at": false, "tq": false, "da": false, "dw": false, "dj": false, "bc": false, "bu": false, "al": false, "ab": false, "ap": false, "an": false, "aa": false, "ds": false, "de": false, "as": false, "cp": false, "ao": false, "et": false, "ay": false, "am": false, "a1": false, "bt": false, "av": false, "dh": false, "dp": false, "d1": false, "mf": false, "bl": false, "ag": false, "dg": false, "ae": false, "df": false, "do": false, "dl": false, "di": false, "d2": false, "d3": false, "ob": false, "d4": false, "ev": false, "d5": false, "d6": false, "a2": false, "dc": false } }, "ld": { "pa": "", "pi": true, "fo": false } }, "bf": { "01DB9176BC3F11E00000004F": { "id": 1,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 }, "01DB9176BC3F11E000000050": { "id": 2,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0, "al": 0, "hs": -1 } } }, "01DB9176BC3F11E000000051": { "id": 3,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10066329, "al": 0, "hs": -1 } } } }, "cp": { "01DB9176BC3F11E000000052": { "id": 0,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9176BC3F11E000000050",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11, "o2": -11, "o3": -11, "o4": -11, "o5": -11, "o6": -11, "o7": -11,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9176BC3F11E000000053": { "id": 1,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9176BC3F11E000000050",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9176BC3F11E000000054": { "id": 2,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9176BC3F11E000000050",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3, "o2": -3, "o3": -3, "o4": -3, "o5": -3, "o6": -3, "o7": -3,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9176BC3F11E000000055": { "id": 3,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9176BC3F11E000000050",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1, "s2": -1, "s3": -1, "s4": -1, "s5": -1, "s6": -1, "s7": -1,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9176BC3F11E000000056": { "id": 4,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9176BC3F11E000000050", "f1
관리자
조회 3,844
인기
2025.03.04 HOUSE
아이들을 위해 지은 집. 유키즈 인 더 하우스
아이들을 위해 지은 집 유키즈 인 더 하우스 젊은 부부는 두 자녀가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마당과 놀이터를 갖춘 주택을 짓고 싶었다. 아이들을 위한 사랑과 배려가 가득 담긴 집을 만나본다. 아이들만의 공간인 실내 놀이터는 아기자기한 장난감들로 가득 채웠다.미끄럼틀 옆 창호를 열고 마당으로 나가서 모래놀이를 하고 뛰어놀 수 있다. 밖에서 맘껏 놀고 들어오면 바로 씻을 수 있도록 실내 놀이터 안쪽으로 아이들 욕실도 조성했다. 거실은 단을 낮춰 좀 더 아늑한 가족들의 쉼터가 되도록 설계했다.역으로 다시 높아진 평상은 거실에서는 걸터앉는 용도로 사용하며,창을 통해 바로 이어진 마당 테라스와 레벨이 같아 외부까지 실내로 넓게 끌어들인 형상이다. 군더더기 없이 깨끗한 화이트로 마감한 현관은 아이들이 앉을 수 있는 벤치형 장을 두고 거실과 면한 벽에 유리블록으로 포인트를 줬다. 같은 층이지만 단차를 둬 재미있는 공간감을 느낄 수 있는 실내.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김포시 대지면적 : 319.20㎡(96.55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 다락 거주인원 : 4명(부부 + 자녀2) 건축면적 : 155.47㎡(47.02평) 연면적 : 367.27㎡(111.09평) 건폐율 : 48.71%(법정 50%) 용적률 : 62.61%(법정 80%) 주차대수 : 2대최고높이 : 9.42m 구조 : 기초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철근콘크리트구조 단열재 : 비드법보온판 2종2호 135mm/ 125mm, PF보드 130mm/115mm 등 외부마감재 : 모노롱브릭타일 THK18, 벽돌담장재 : 모노롱브릭 벽돌 창호재 : 알루미늄 시스템창호 THK32 열회수환기장치 : 경동나비엔 에너지원 : 도시가스, 태양광에너지 조경석 : 화산석 전기·기계·설비 : 제이앤영엔지니어링 구조설계(내진) : 서전구조엔지니어링 시공 : 건축주 직영(유지선, 임보름) 감리 : 김재현 설계 : ㈜윤아영건축사사무소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 – 포세린타일, 수성페인트, 필름 / 바닥 –포세린타일, 강마루 / 천장 – 수성페인트, 지정벽지 욕실·주방 타일 : 포세린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매립수전 주방 가구 : E0등급 제작가구, 세라믹상판(해밀디자인) 조명 : 메타라인조명, 매립라인조명 계단재·난간 : 포세린타일, 금속 환봉 위 친환경 우레탄페인트 현관문 : 글로리도어 중문 : 알루미늄 중문 방문 : ABS스텝도어, 히든도어 붙박이장 : E0등급 제작가구 데크재 : 방킬라이 데크 상부장을 없애고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패턴의 대리석 아일랜드로 수납을 대체한 주방. 마당과 공원을 향해 활짝 열려 개방감이 느껴지는 주방.실내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의 모습을 주방에서도 쉽게 바라볼 수 있다.놀이터를 사용하지 않거나 손님이 방문하면 가벽 기능을 하는 슬라이딩 중문을 닫아둘 수 있다. 아이들이 물놀이할 수 있도록 널찍한 조적욕조를 설치해 편의성을 높인 욕실. 영롱쌓기 기법으로 완성한 띄엄띄엄 비워진 벽돌 난간은 건축적 차경의 역할을 한다. 상단부에 코너 창을 적용해 프라이버시는 보호하면서도 빛은 풍요롭게 받아들이는 마스터룸.마스터룸 욕실과 드레스룸으로 연결된다. 박공지붕의 구조가 그대로 드러나는 다락은 아이들의 또 다른 아지트가 된다.천창을 내 채광에도 부족함이 없도록 했다. 밝은 회색 외장재로 통일한 깔끔한 주택의 외관. 필로티와 발코니 등이 만들어내는 다채로운 깊이감과 공간감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새로운 입면이 드러난다. 인도를 향해서는 프라이버시를 위해 최소한의 창을 냈다. 건축가 윤아영 : 윤아영건축사사무소 홍익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학위를 마치고 공간종합건축사무소에서 다수의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2015년 건축사자격을 취득하였다. 이후에는 세경그룹 산하 UNITLess Design 근무 중 다양한 해외 건축설계와 시공 현장 감리를 맡았으며 동시에 국내외 다수 인테리어 설계를 진행했다. 2018년도에 개소하여 운영 중인 윤아영건축사사무소는 ’처음처럼 즐거운 마음으로 공간을 고민하며 영역을 점차 넓혀가는 젊은 건축가그룹‘으로, 건축과 인테리어 프로젝트를 두루 진행하고 있다. 기획부터 시공 과정까지 깊숙이 관여하며 다양한 규모의 공간을 통합적인 사고를 통해 제안하고 실현한다. 02-6497-6900 www.yay-architects.com 기획 오수현| 사진 남경진(Fay Nam) <!--[data-hwpjson]{ "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1, "dv": 0, "dr": 1, "do": 1, "vj": "1.1", "an": "Hancom Office Hangul", "av": "12, 0, 0, 3747", "ao": "WIN", "ab": "32", "ar": "LE", "as": "Windows_10" }, "dis": false, "ds": { "ti": "", "la": "ko", "cr": "", "su": "", "de": "", "cd": "2025-03-04T08:52:51.480Z", "ke": "" } }, "dh": { "do": { "pa": 1, "fo": 1, "en": 1, "pi": 1, "tb": 1, "eq": 1 }, "fo": [ ], "cd": { "tp": 0, "lc": { "af": false, "ui": false, "fu": false, "dn": false, "ul": false, "el": false, "at": false, "tq": false, "da": false, "dw": false, "dj": false, "bc": false, "bu": false, "al": false, "ab": false, "ap": false, "an": false, "aa": false, "ds": false, "de": false, "as": false, "cp": false, "ao": false, "et": false, "ay": false, "am": false, "a1": false, "bt": false, "av": false, "dh": false, "dp": false, "d1": false, "mf": false, "bl": false, "ag": false, "dg": false, "ae": false, "df": false, "do": false, "dl": false, "di": false, "d2": false, "d3": false, "ob": false, "d4": false, "ev": false, "d5": false, "d6": false, "a2": false, "dc": false } }, "ld": { "pa": "", "pi": true, "fo": false } }, "bf": { "01DB8CE2D292B89000000097": { "id": 1,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 }, "01DB8CE2D292B89000000098": { "id": 2,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0, "al": 0, "hs": -1 } } }, "01DB8CE2D292B89000000099": { "id": 3,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10066329, "al": 0, "hs": -1 } } } }, "cp": { "01DB8CE2D292B8900000009A": { "id": 0,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CE2D292B89000000098",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0, "r2": 100, "r3": 100, "r4": 100, "r5": 100, "r6": 100, "r7": 100,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CE2D292B8900000009B": { "id": 1,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CE2D292B89000000099",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0, "r2": 100, "r3": 100, "r4": 100, "r5": 100, "r6": 100, "r7": 100,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 "tp": { "01DB8CE2D292B8900000009C": { "id": 0, "al": false, "ar": false, "tp": [ ] }, "01DB8CE2D292B8900000009D": { "id": 1, "al": false, "ar": false, "tp": [ { "po": 49568, "ty": 0, "le": 0 } ] } }, "nu": { }, "bu": { }, "pp": { "01DB8CE2D292B8900000009E": { "id": 0, "ah": 1, "av": 0, "ht": 0, "hi": "", "hl": 0, "tp": "01DB8CE2D292B8900000009D", "kb": 0, "kn": false, "ko": false, "kk": false, "kl": false, "kp": false, "kw": 0, "co": 0, "fl": false, "st": true, "sl": false, "ae": false, "aa": false, "mi": 0, "ml": 0, "mr": 0, "mp": 0, "mn": 0, "lt": 0, "lv": 160, "bf": "01DB8CE2D292B89000000099", "bl": 0, "br": 0, "bt": 0, "bb": 0, "bc": false, "bi": false }, "01DB8CE2D292B8900000009F": { "id": 1, "ah": 0, "av": 0, "ht": 0, "hi": "", "hl": 0, "tp": "01DB8CE2D292B8900000009C", "kb": 0, "kn": true, "ko": false, "kk": false, "kl": false, "kp": false, "kw": 0, "co": 0, "fl": false, "st": true, "sl": false, "ae": false, "aa": false, "mi": 0, "ml": 0, "mr": 0, "mp": 0, "mn": 0, "lt": 0, "lv": 160, "bf": "01DB8CE2D292B89000000099", "bl": 0, "br": 0, "bt": 0, "bb": 0, "bc": false, "bi": false } }, "st": { "01DB8CE2D292B890000000A0": { "id": 0, "ty": 0, "na": "바탕글", "en": "Normal", "pp": "01DB8CE2D292B8900000009F", "cp": "01DB8CE2D292B8900000009B", "ns": "01DB8CE2D292B890000000A0", "li": 1042, "lf": false } }, "mp": { }, "ro": { "hp": "01DB8CE2D292B89000000096", "01DB8CE2D292B89000000096": { "np": "", "id": 0, "pp": "01DB8CE2D292B8900000009E", "si": "01DB8CE2D292B890000000A0", "bf": 3, "ru": [ { "cp": "01DB8CE2D292B8900000009A", "ch": [ { "cc": 2, "ci": 1936024420, "co": "01DB8CE2D292B89000000094" } , { "cc": 2, "ci": 1668246628, "co": "01DB8CE2D292B89000000095" } , { "t": "ⓒ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25년 1월호 / Vol.311 www.uujj.co.kr" } ] } ] } }, "sl": { }, "cs": { "01DB8CE2D292B89000000094": { "cc": 2, "ci": 1936024420, "td": 0, "tv": false, "sc": 1134, "ts": 8000, "ms": "", "os": "", "gl": 0, "gc": 0, "gw": false, "ns": 0, "np": 0, "ni": 0, "nt": 0, "ne": 0, "hh": false, "hf": false, "hm": false, "fb": false, "hb": false, "fi": false, "hi": false, "hp": false, "he": false, "sl": false, "lr": 0, "lc": 0, "ld": 0, "ls": 0, "pp": { "ls": false, "wi": 59528, "he": 84188, "gt": 0, "ml": 8504, "mr": 8504, "mt": 5668, "mb": 4252, "mh": 4252, "mf": 4252, "mg": 0 }, "fn": { "at": 0, "au": "", "ap": "", "ac": ")", "as": false, "ll": -1, "lt": 1, "lw": 1, "lc": 0, "sa": 850, "sb": 567, "st": 283 , "nt": 0, "nn": 1, "pp": 0, "pb": false }, "en": { "at": 0, "au": "", "ap": "", "ac": ")", "as": false, "ll": -4, "lt": 1, "lw": 1, "lc": 0, "sa": 850, "sb": 567, "st": 0 , "nt": 0, "nn": 1, "pp": 0, "pb": false }, "pb": [ { "ty": 0, "bf": "01DB8CE2D292B89000000097", "tb": true, "hi": false, "fi": false, "fa": 0, "ol": 1417, "or": 1417, "ot": 1417, "ob": 1417 }, { "ty": 1, "bf": "01DB8CE2D292B89000000097", "tb": true, "hi": false, "fi": false, "fa": 0, "ol": 1417, "or": 1417, "ot": 1417, "ob": 1417 }, { "ty": 2, "bf": "01DB8CE2D292B89000000097", "tb": true, "hi": false, "fi": false, "fa": 0, "ol": 1417, "or": 1417, "ot": 1417, "ob": 1417 } ], "mp": [ ] } , "01DB8CE2D292B89000000095": { "cc": 2, "ci": 1668246628, "ty": 0, "la": 0, "co": 1, "ss": true, "sg": 0, "lt": 0, "lw": 0, "lc": 0, "cs": [ ] } }, "bi": [ ], "bidt": { } }--> ⓒ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311 www.uujj.co.kr <p class="0" style="text-align:left;word-break:keep-all;tab-stops:center blank 198.4pt center blank 269.3pt center blank 326.0pt center blank 382.7pt center blank 439.4pt center blank 496.6pt;ms
관리자
조회 4,100
인기
2025.02.27 HOUSE
삶을 품어 아름답게 흐르다. 소소유락
삶을 품어 아름답게 흐르다 소소유락 오래된 기억을 가진, 멈추어있는 듯 부자연스러웠던 대지. 가능성을 토대로 다시 태어난 집은 그 자체로 주변의 땅과 조응하며 부부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낸다. 1932년도에 지어진 목구조 슬레이트 지붕집이 있던 기존 대지는 입구가 좁고 안쪽이 넓은, 그야말로 호리병 모양의 대지였다. 경계는 불분명했고, 진입로가 곧 마을길이 되며 흐름이 막힌 듯한 부자연스러운 상태였다. 건축주는 이곳에 은퇴한 부부를 위한 남향의 박공지붕 주말주택을 짓길 원했지만, 땅의 모양 때문에 걱정이 많았다. 그러나 설계를 맡은 건축사사무소 스튜디오 뮤트는 비정형의 대지에서 더 많은 가능성과 이야기를 읽어낼 수 있었다. 설계안은 흐름이 막혀버린 대지에 하나의 덩어리를 배치하는 방향으로 결정됐다. 좁고 긴 대지 전면은 그 자체로 진입의 아이디어가 되었다. 경계 담장과 주차장을 일치시켜 진입부에 배치했고, 기존에 사용되던 마을길은 대지 내로 수용했다. 기존의 길이 가진 흔적은 마을 어르신들이 앉아서 쉴 수 있는 긴 콘크리트 벤치를 진입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계승됐다. 다시 흐름을 되찾은 대지 안쪽에 주택이 그 자체로 하나의 덩어리가 되어 존재한다. 최대한 단순하고 견고한 질감의 스터코를 외장재로 선정해 변화하는 시간과 풍경에 녹아드는 집을 의도했다. 외부의 담장재가 그랬듯, 내부 또한 노출콘크리트로 모든 면이 통일되어 분위기를 이어간다. 단층의 양 끝에 실들을 놓고, 중심은 비워 남과 북 두 개의 정원을 향해 열었다. 건축주는 남측정원-거실-방-북측정원 순으로 안팎을 순환하며 끊임없이 생동하는 시간과 풍경을 경험한다. 경계를 따라 다락이 꺾이는 변곡점이 되는 거실, 그 중심에 원형의 기둥을 세워줬다. 그 자체로 구조적이자 상징적인 거주 공간의 캐릭터가 되어준다. 계단을 따라 오르면 끝자락에 천창이 있는 다락이 나타난다. 다락은 불교를 연구하는 남편을 위한 명상실이자 휴식공간이다. 집 곳곳에 걸린 그림은 회화를 전공한 딸의 그림으로, 노출 콘크리트의 단순함 위로 작품의 존재감이 자연스레 강조된다. 부부의 애정이 그대로 담기는 공간인 두 개의 정원 중 남측은 진입부와 주택의 흐름을 만드는 매개 역할을 한다. 콘크리트 데크와 건물의 전면창을 통해 남향의 햇빛을 온전히 받고 즐기는 곳이다. 북측 정원은 집의 내부에서 빛을 받은 나무와 식재들이 잘 보일 수 있는 포인트 요소로 구성했다. 부부는 준공 이후로도 수공간과 조경 공간을 직접 가꾸며 즐거움을 찾고 있다. 건축주가 직접 붙인 집의 이름, ‘소소유락’은 은퇴 후 지인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자 하는 마음 그 자체로부터 비롯됐다. 처음 마주했던 독특한 모양새에서 멈추었던 집은 이렇게 다시 태어났다. 소소하지만 큰 기쁨이 있는 일상 속에서 흐르는 삶을 만들어내는 집이다. 주차장은 담장과 같은 노출 콘크리트를 사용해 통일감 있는 외관을 만든다. 두 방향의 마당으로 열린 거실. 노출 콘크리트 내장 위에 걸린 딸의 그림이 색을 더하며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남측과 북측 모두 큰 전면 시스템창호를 적용해 채광 등의 답답함이 없도록 했다. 주방은 조리대와 아일랜드로 공간의 정체성을 부여하면서 바깥면을 노출 콘크리트로 마감하는 등의 디테일이 돋보인다. 계단을 올라가면 나타나는 다락은 천창과 코너창을 향해 들어오는 빛으로 오브제들의 존재감을 부각시키는 장소다. 침실로 들어서는 입구에 목재 몰딩을 적용해 공간을 구분하고, 휴식 공간으로 진입한다는 인상을 부여했다. 바깥에서 드러나는 다락의 모습. 노출 콘크리트를 닮은 스터코 외장재의 질감이 두드러진다. 8대지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건축의 문법으로 자리잡은 소소유락의 모습.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이천시 대지면적 :393㎡(118.88평) 건물규모 :지상 1층+다락 건축면적 : 133.21㎡(40.3평) 연면적 :123.74㎡(37.43평) 건폐율 : 33.9% 용적률 : 24.8% 거주인원 :2명(부부) 주차대수 :1대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철근콘크리트 단열재 : T30/110/220 압출법보온판 2호(XPS), T135 비드법 2종 3호(EPS) 외부마감재 : 외벽 – 테라코 코리아 플랙시텍스 그래뉼 TK-336 / 지붕 –VM ZINC 담장재: 노출 콘크리트, 탄화목 창호재 : 이건창호 ESS280, EWS75, ECW60 알루미늄 창호 + T43mm 삼중창 에너지원 :도시가스전기·통신·소방 :㈜승진이엠씨 기계:㈜재원엔지니어링 구조설계(내진):㈜센텀구조기술사사무소 시공·조경 :건축주 직영 설계·감리 :㈜건축사사무소 스튜디오 뮤트(Studio M.U.Te.) 02-6406-0314 https://studiomute.com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노출 콘크리트 욕실 및 주방 타일 : 윤현상재 수입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더죤테크, IKEA 주방 가구 : 제작가구 (URBAN CUSTOM) + 상판 현장제작 (자작나무합판), IKEA 거실가구 : 기존가구 사용, IKEA 계단재, 난간 : 노출 콘크리트 위 에폭시코팅, 환봉난간 조명:메가룩스, 엠케이조명, IKEA방문 :현장제작 목재 슬라이딩도어 (자작나무합판) 현관문 :코렐도어 시그니처 현관문 데크재 :노출 콘크리트 기획_손준우 | 사진_김용수 <!--[data-hwpjson]{ "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1, "dv": 0, "dr": 1, "do": 1, "vj": "1.1", "an": "Hancom Office Hangul", "av": "12, 0, 0, 3747", "ao": "WIN", "ab": "32", "ar": "LE", "as": "Windows_10" }, "dis": false, "ds": { "ti": "", "la": "ko", "cr": "", "su": "", "de": "", "cd": "2025-02-27T00:50:16.701Z", "ke": "" } }, "dh": { "do": { "pa": 1, "fo": 1, "en": 1, "pi": 1, "tb": 1, "eq": 1 }, "fo": [ ], "cd": { "tp": 0, "lc": { "af": false, "ui": false, "fu": false, "dn": false, "ul": false, "el": false, "at": false, "tq": false, "da": false, "dw": false, "dj": false, "bc": false, "bu": false, "al": false, "ab": false, "ap": false, "an": false, "aa": false, "ds": false, "de": false, "as": false, "cp": false, "ao": false, "et": false, "ay": false, "am": false, "a1": false, "bt": false, "av": false, "dh": false, "dp": false, "d1": false, "mf": false, "bl": false, "ag": false, "dg": false, "ae": false, "df": false, "do": false, "dl": false, "di": false, "d2": false, "d3": false, "ob": false, "d4": false, "ev": false, "d5": false, "d6": false, "a2": false, "dc": false } }, "ld": { "pa": "", "pi": true, "fo": false } }, "bf": { "01DB88B194A3BFF00000005C": { "id": 1,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 }, "01DB88B194A3BFF00000005D": { "id": 2,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0, "al": 0, "hs": -1 } } }, "01DB88B194A3BFF00000005E": { "id": 3,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10066329, "al": 0, "hs": -1 } } } }, "cp": { "01DB88B194A3BFF00000005F": { "id": 0,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B194A3BFF00000005D",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0, "r2": 100, "r3": 100, "r4": 100, "r5": 100, "r6": 100, "r7": 100,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B194A3BFF000000060": { "id": 1,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B194A3BFF00000005E",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0, "r2": 100, "r3": 100, "r4": 100, "r5": 100, "r6": 100, "r7": 100,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 "tp": { "01DB88B194A3BFF000000061": { "id": 0, "al": false, "ar": false, "tp": [ ] }, "01DB88B194A3BFF000000062": { "id": 1, "al": false, "ar": false, "tp": [ { "po": 49568, "ty": 0, "le": 0 } ] } }, "nu": { }, "bu": { }, "pp": { "01DB88B194A3BFF000000063": { "id": 0, "ah": 1, "av": 0, "ht": 0, "hi": "", "hl": 0, "tp": "01DB88B194A3BFF000000062", "kb": 0, "kn": false, "ko": false, "kk": false, "kl": false, "kp": false, "kw": 0, "co": 0, "fl": false, "st": true, "sl": false, "ae": false, "aa": false, "mi": 0, "ml": 0, "mr": 0, "mp": 0, "mn": 0, "lt": 0, "lv": 160, "bf": "01DB88B194A3BFF00000005E", "bl": 0, "br": 0, "bt": 0, "bb": 0, "bc": false, "bi": false }, "01DB88B194A3BFF000000064": { "id": 1, "ah": 0, "av": 0, "ht": 0, "hi": "", "hl": 0, "tp": "01DB88B194A3BFF000000061", "kb": 0, "kn": true, "ko": false, "kk": false, "kl": false, "kp": false, "kw": 0, "co": 0, "fl": false, "st": true, "sl": false, "ae": false, "aa": false, "mi": 0, "ml": 0, "mr": 0, "mp": 0, "mn": 0, "lt": 0, "lv": 160, "bf": "01DB88B194A3BFF00000005E", "bl": 0, "br": 0, "bt": 0, "bb": 0, "bc": false, "bi": false } }, "st": { "01DB88B194A3BFF000000065": { "id": 0, "ty": 0, "na": "바탕글", "en": "Normal", "pp": "01DB88B194A3BFF000000064", "cp": "01DB88B194A3BFF000000060", "ns": "01DB88B194A3BFF000000065", "li": 1042, "lf": false } }, "mp": { }, "ro": { "hp": "01DB88B194A3BFF00000005B", "01DB88B194A3BFF00000005B": { "np": "", "id": 0, "pp": "01DB88B194A3BFF000000063", "si": "01DB88B194A3BFF000000065", "bf": 3, "ru": [ { "cp": "01DB88B194A3BFF00000005F", "ch": [ { "cc": 2, "ci": 1936024420, "co": "01DB88B194A3BFF000000059" } , { "cc": 2, "ci": 1668246628, "co": "01DB88B194A3BFF00000005A" } , { "t": "ⓒ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24년 2월호 / Vol.300 www.uujj.co.kr" } ] } ] } }, "sl": { }, "cs": { "01DB88B194A3BFF000000059": { "cc": 2, "ci": 1936024420, "td": 0, "tv": false, "sc": 1134, "ts": 8000, "ms": "", "os": "", "gl": 0, "gc": 0, "gw": false, "ns": 0, "np": 0, "ni": 0, "nt": 0, "ne": 0, "hh": false, "hf": false, "hm": false, "fb": false, "hb": false, "fi": false, "hi": false, "hp": false, "he": false, "sl": false, "lr": 0, "lc": 0, "ld": 0, "ls": 0, "pp": { "ls": false, "wi": 59528, "he": 84188, "gt": 0, "ml": 8504, "mr": 8504, "mt": 5668, "mb": 4252, "mh": 4252, "mf": 4252, "mg": 0 }, "fn": { "at": 0, "au": "", "ap": "", "ac": ")", "as": false, "ll": -1, "lt": 1, "lw": 1, "lc": 0, "sa": 850, "sb": 567, "st": 283 , "nt": 0, "nn": 1, "pp": 0, "pb": false }, "en": { "at": 0, "au": "", "ap": "", "ac": ")", "as": false, "ll": -4, "lt": 1, "lw": 1, "lc": 0, "sa": 850, "sb": 567, "st": 0 , "nt": 0, "nn": 1, "pp": 0, "pb": false }, "pb": [ { "ty": 0, "bf": "01DB88B194A3BFF00000005C", "tb": true, "hi": false, "fi": false, "fa": 0, "ol": 1417, "or": 1417, "ot": 1417, "ob": 1417 }, { "ty": 1, "bf": "01DB88B194A3BFF00000005C", "tb": true, "hi": false, "fi": false, "fa": 0, "ol": 1417, "or": 1417, "ot": 1417, "ob": 1417 }, { "ty": 2, "bf": "01DB88B194A3BFF00000005C", "tb": true, "hi": false, "fi": false, "fa": 0, "ol": 1417, "or": 1417, "ot": 1417, "ob": 1417 } ], "mp": [ ] } , "01DB88B194A3BFF00000005A": { "cc": 2, "ci": 1668246628, "ty": 0, "la": 0, "co": 1, "ss": true, "sg": 0, "lt": 0, "lw": 0, "lc": 0, "cs": [ ] } }, "bi": [ ], "bidt": { } }--> ⓒ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300 www.uujj.co.kr <!--[data-hwpjson]{ "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1, "dv": 0, "dr": 1, "do": 1, "vj": "1.1", "an": "Hancom Office Hangul", "av": "12, 0, 0, 3747", "ao": "WIN", "ab": "32", "ar": "LE", "as": "Windows_10" }, "dis": false, "ds": { "ti": "", "la": "ko", "cr": "", "su": "", "de": "", "cd": "2025-02-27T00:37:44.843Z", "ke": "" } }, "dh": { "do": { "pa": 1, "fo": 1, "en": 1, "pi": 1, "tb": 1, "eq": 1 }, "fo": [ ], "cd": { "tp": 0, "lc": { "af": false, "ui": false, "fu": false, "dn": false, "ul": false, "el": false, "at": false, "tq": false, "da": false, "dw": false, "dj": false, "bc": false, "bu": false, "al": false, "ab": false, "ap": false, "an": false, "aa": false, "ds": false, "de": false, "as": false, "cp": false, "ao": false, "et": false, "ay": false, "am": false, "a1": false, "bt": false, "av": false, "dh": false, "dp": false, "d1": false, "mf": false, "bl": false, "ag": false, "dg": false, "ae": false, "df": false, "do": false, "dl": false, "di": false, "d2": false, "d3": false, "ob": false, "d4": false, "ev": false, "d5": false, "d6": false, "a2": false, "dc": false } }, "ld": { "pa": "", "pi": true, "fo": false } }, "bf": { "01DB88AFDE2061800000003A": { "id": 1,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 }, "01DB88AFDE2061800000003B": { "id": 2,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0, "al": 0, "hs": -1 } } }, "01DB88AFDE2061800000003C": { "id": 3,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10066329, "al": 0, "hs": -1 } } } }, "cp": { "01DB88AFDE2061800000003D": { "id": 0,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11, "o2": -11, "o3": -11, "o4": -11, "o5": -11, "o6": -11, "o7": -11,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3E": { "id": 1,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3F": { "id": 2,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1, "s2": -1, "s3": -1, "s4": -1, "s5": -1, "s6": -1, "s7": -1,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40": { "id": 3,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2, "s2": -2, "s3": -2, "s4": -2, "s5": -2, "s6": -2, "s7": -2,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41": { "id": 4,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2, "r2": 102, "r3": 102, "r4": 102, "r5": 102, "r6": 102, "r7": 102,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tru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42": { "id": 5,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2, "r2": 102, "r3": 102, "r4": 102, "r5": 102, "r6": 102, "r7": 102,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43": { "id": 6,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4, "s2": 4, "s3": 4, "s4": 4, "s5": 4, "s6": 4, "s7": 4,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11, "o2": -11, "o3": -11, "o4": -11, "o5": -11, "o6": -11, "o7": -11, "it": false, "bo": tru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44": { "id": 7,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tru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45": { "id": 8,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46": { "id": 9,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2, "s2": -2, "s3": -2, "s4": -2, "s5": -2, "s6": -2, "s7": -2,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tru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47": { "id": 10,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0, "s2": 0, "s3": 0, "s4": 0, "s5": 0, "s6": 0, "s7": 0,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8AFDE20618000000048": { "id": 11,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8AFDE2061800000003B", "f1
관리자
조회 4,519
인기
2025.02.25 HOUSE
당신과 함께 나태해지는 집, 딩가딩가
당신과 함께 나태해지는 집 딩가딩가 베짱이가 기타를 치는 소리에서 딴 ‘딩가딩가’라는 이름. 바쁜 일상에 묻혀있던 부부와 강아지, 세 가족의 삶을 시나브로 바꾸어버린, 여행과 일상의 경계를 허무는 집의 이야기 작은 숲을 지나 깊게 뻗는 그림자와, 생활을 밝히는 빛의 잠망경 우리가 처음 만난 건축주의 일상은 베짱이와는 거리가 멀었다. 서울에서 3교대 근무를 하는 아내와 매일 이른 출근을 하는 남편, 그리고 하루종일 혼자 분주히 집을 지키는 강아지까지, 성실히 그리고 바쁘게 살아가는 전문직 세 가족이다. 이들이 서울의 아파트 생활을 정리하고, 시골에 단독주택을 짓기로 결심한 이유는 도시에서 시골로의 물리적 이동을 통해 환기의 시간을 가지기 위해서였다. 시골의 느리게 흐르는 시간 속에서 좀 더 ‘나태한 삶’을 결심한 것이다. 도시와 시골을 오고 가는 여정 속에서 다양한 풍경들을 마주하며 매일 집으로 여행을 떠나는 설레임과 기대감을 느낄 수 있는 집을 만들고 싶었다. 여행의 목적지처럼, 온전한 휴식을 위한 일상의 편안함과 집이 아닌 낯선 여행지에서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비일상의 공간을 함께 담아내고자 했다. 딩가딩가에는 비일상의 공간을 위한 여러 가지의 장치가 있다. 마당으로 길게 뻗은 지붕은 집의 연결점인 툇마루에 깊은 처마를 만든다. 2m가 넘는 처마는 마당에 내부 공간만큼이나 큰 머무름의 공간을 만든다. 자연과 가깝게 맞닿은 처마 아래는 계절을 담는 시간의 공간이다. 햇살이 화창한 날에는 빛을 반사하는 금속 복합패널 마감의 처마가 시시각각 변하는 빛을 산란시켜 콘크리트 툇마루에 어울거리는 그림자를 만든다. 비가 내리는 날, 처마 끝을 따라 떨어지는 빗방울이 만든 물줄기들이 에워싸 툇마루에 새로운 경험의 공간을 만든다. 깊은 처마 밑 반외부 공간은 맨발로 나와 편안하게 앉기도, 때론 눕기도 하는 벽이 없는 자연 속 또 하나의 방이다. 집 안에 사면이 벽으로 막힌 방은 하나 뿐이다. 공식처럼 여겨지는 평형에서 벗어나 집에서 하고 싶은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고, 온전한 경험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 분위기를 계획했다. 거실은 집의 일부이지만 동시에 외부처럼 집의 생활 공간과 명확하게 분리하였다. 복도는 땅에서 하늘까지 이어지는 커튼월의 큰 창을 계획하고, 숲 속을 거니는 것처럼 양 옆에 큰 나무를 심었다. 복도를 지나면서 먼 산과 마당의 가까운 정원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숲 복도를 지나 처음으로 만나는 생활공간은 주방과 식당이다. 단층의 집의 외부에서 보면 굴뚝처럼 보이는 솟아 있는 천창 구조물은 그야말로 빛의 잠망경으로, 집 안에서 흡사 제임스 터렐의 작품을 감상하는 비일상의 경험을 선사한다. 창을 통해 이어지는, 반려견과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할 수 있는 마당은 가족에게는 일상 속의 산책로 역할을 한다. 넓은 툇마루가 활동을 위한 공간이라면, 마당은 그 자체로 자연 그대로의 공간이다. 자연스럽게 흩뿌려지듯 조성된 식재는 시골 오솔길에서 흔히 만나는 야생의 질감을 가진다. 마당 이곳저곳을 거닐며 예상치 않은 다양한 꽃과 나무와의 자연스러운 스침은 집 속의 숲의 경험을 제공한다. 벽돌의 물성과 중정의 존재감이 드러나는 외관의 모습. 지나는 이들로부터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담장을 올려줬다. 콘크리트 데크와 자갈로 경계를 만들어 준 마당. 요소별로 구획된 조경은 처마가 만드는 그림자와 마당으로 들어차는 햇살을 통해 더욱 입체적인 그림을 만든다. 양옆으로 창을 낸 숲길을 닮은 복도는 공간 자체로 집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오픈 형태의 거실은 상부에도 창을 구성해 채광을 보강하고 더욱 다이내믹한 공간으로 만들었다. 2층의 유리 난간과 거실의 화이트 인테리어가 따뜻하고 밝은 실내를 연출한다. 거실은 히든 도어 등을 통해 다른 생활 공간과 조금 더 명확히 구분되는 휴식의 공간이다. 주방 겸 다이닝은 천창의 존재감이 깊은 인상을 준다. 상부장을 제외하고 같은 새상의 우드로 연출한 매립 선반이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동측의 침실로 향하는 복도에는 유리블록을 두어 생활 공간의 프라이버시를 한번 더 보완했다. 침실은 목재의 물성과 화이트 컬러 외에는 군더더기를 남기지 않았다. 밤이 되면 주택의 크고 작은 창을 통해 빛이 새어나오며 집 안에서만 누릴 수 있는 또 다른 풍경을 연출한다. 딩가딩가의 북측면. 벽돌이 만드는 색감과 예리하게 그려지는 그림자, 울타리처럼 심어둔 나무가 집의 존재감을 밝힌다. HOUSE PLAN 대지위치:경기도 양평군규모:지상2층 거주인원:2명(부부) +반려견1 건축면적:176.63㎡(53.43평) 연면적:191.4㎡(57.90평) 건폐율:38.23% 용적률:41.43% 구조:기초-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지상-철근콘크리트 최고높이:7.5m 주차대수:2대 단열재:T100경질우레탄보드 창호재:공간창호AL시스템창호 외부마감재:외벽–상산벽돌 치창벽돌 쌓기/지붕–에코렉스 복합패널지붕 내부마감재:친환경페인트 올퍼티 도장/바닥–지복득마루 원목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상아타일 수입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더존테크,아메리칸스탠다드 주방 가구 및 붙박이장:네모가구 조명:3인치 매입조명 및 제작 간접조명 계단재·난간:T14원목마루 시공 현관문:제작 단열 방화 도어 중문:제작 슬라이딩 목문 도어 방문:제작 도어 담장재:상산벽돌 열회수환기장치:ZEHNDER콤포에아Q350 에너지원:LPG 조경:그린그라피제이 전기:㈜엘림전설 기계:㈜건창기술단 구조설계:㈜한길구조엔지니어링 시공:두다건설 설계·감리:소수건축사사무소 건축가 김미희, 고석홍 : 소수건축사사무소 김미희, 고석홍은 2012년 광주폴리Ⅱ 설계공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기억의 상자’ 설치 작업을 계기로 협업을 시작했다. 두 사람은 2016년에 소수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하고 동심원, 일삶빌딩, 신선길, 양평 살구마을 단독주택단지 등 다양한 작업을 선보였다. 도시 조직 안의 작은 단위로서 개별성과 보편성을 지닌 건축을 추구하고 있다. 대표작인 동심원으로 2018년 한국건축문화대상 신진건축사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지품팡팡 놀이터로 2018년 따뜻한 공간상 대상을 수상했다. 고석홍은 2021년부터 남서울대학교 건축학부에서 객원 교수로 출강 중이며, 김미희는 2019년부터 한양대학교 건축학부에서 겸임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02-461-2357 |https://sosu2357.com 글 김미희, 고석홍|사진 노경|기획 손준우 <!--[data-hwpjson]{"documentPr": {"di": "","dp": {"dn": "test.hwp","ta": 1,"d1": 5,"d2": 1,"dv": 0,"dr": 1,"do": 1,"vj": "1.1","an": "Hancom Office Hangul","av": "12, 0, 0, 3747","ao": "WIN","ab": "32","ar": "LE","as": "Windows_10"},"dis": false,"ds": {"ti": "","la": "ko","cr": "","su": "","de": "","cd": "2025-02-24T23:58:42.643Z","ke": ""}},"dh": {"do": {"pa": 1,"fo": 1,"en": 1,"pi": 1,"tb": 1,"eq": 1},"fo": [ ],"cd": {"tp": 0,"lc": {"af": false,"ui": false,"fu": false,"dn": false,"ul": false,"el": false,"at": false,"tq": false,"da": false,"dw": false,"dj": false,"bc": false,"bu": false,"al": false,"ab": false,"ap": false,"an": false,"aa": false,"ds": false,"de": false,"as": false,"cp": false,"ao": false,"et": false,"ay": false,"am": false,"a1": false,"bt": false,"av": false,"dh": false,"dp": false,"d1": false,"mf": false,"bl": false,"ag": false,"dg": false,"ae": false,"df": false,"do": false,"dl": false,"di": false,"d2": false,"d3": false,"ob": false,"d4": false,"ev": false,"d5": false,"d6": false,"a2": false,"dc": false}},"ld": {"pa": "","pi": true,"fo": false}},"bf": {"01DB87180BB2976000000044": {"id": 1,"td": false,"sh": false,"st": 0,"sc": 0,"si": false,"bt": 0,"bi": false,"cl": 0,"bc": false,"lt": 0,"lw": 0,"lc": 0,"rt": 0,"rw": 0,"rc": 0,"tt": 0,"tw": 0,"tc": 0,"bbt": 0,"bbw": 0,"bbc": 0,"dt": 1,"dw": 0,"dc": 0,"fi": { }},"01DB87180BB2976000000045": {"id": 2,"td": false,"sh": false,"st": 0,"sc": 0,"si": false,"bt": 0,"bi": false,"cl": 0,"bc": false,"lt": 0,"lw": 0,"lc": 0,"rt": 0,"rw": 0,"rc": 0,"tt": 0,"tw": 0,"tc": 0,"bbt": 0,"bbw": 0,"bbc": 0,"dt": 1,"dw": 0,"dc": 0,"fi": {"wb": {"fc": 4294967295,"hc": 0,"al": 0,"hs": -1}}},"01DB87180BB2976000000046": {"id": 3,"td": false,"sh": false,"st": 0,"sc": 0,"si": false,"bt": 0,"bi": false,"cl": 0,"bc": false,"lt": 0,"lw": 0,"lc": 0,"rt": 0,"rw": 0,"rc": 0,"tt": 0,"tw": 0,"tc": 0,"bbt": 0,"bbw": 0,"bbc": 0,"dt": 1,"dw": 0,"dc": 0,"fi": {"wb": {"fc": 4294967295,"hc": 10066329,"al": 0,"hs": -1}}}},"cp": {"01DB87180BB2976000000047": {"id": 0,"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5,"r2": 105,"r3": 105,"r4": 105,"r5": 105,"r6": 105,"r7": 105,"s1": 6,"s2": 6,"s3": 6,"s4": 6,"s5": 6,"s6": 6,"s7": 6,"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11,"o2": -11,"o3": -11,"o4": -11,"o5": -11,"o6": -11,"o7": -11,"it": false,"bo": fals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48": {"id": 1,"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5,"r2": 105,"r3": 105,"r4": 105,"r5": 105,"r6": 105,"r7": 105,"s1": 6,"s2": 6,"s3": 6,"s4": 6,"s5": 6,"s6": 6,"s7": 6,"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0,"o2": 0,"o3": 0,"o4": 0,"o5": 0,"o6": 0,"o7": 0,"it": false,"bo": fals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49": {"id": 2,"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3,"r2": 103,"r3": 103,"r4": 103,"r5": 103,"r6": 103,"r7": 103,"s1": -1,"s2": -1,"s3": -1,"s4": -1,"s5": -1,"s6": -1,"s7": -1,"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0,"o2": 0,"o3": 0,"o4": 0,"o5": 0,"o6": 0,"o7": 0,"it": false,"bo": fals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4A": {"id": 3,"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5,"r2": 105,"r3": 105,"r4": 105,"r5": 105,"r6": 105,"r7": 105,"s1": 4,"s2": 4,"s3": 4,"s4": 4,"s5": 4,"s6": 4,"s7": 4,"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8,"o2": -8,"o3": -8,"o4": -8,"o5": -8,"o6": -8,"o7": -8,"it": false,"bo": tru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4B": {"id": 4,"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3,"r2": 103,"r3": 103,"r4": 103,"r5": 103,"r6": 103,"r7": 103,"s1": -2,"s2": -2,"s3": -2,"s4": -2,"s5": -2,"s6": -2,"s7": -2,"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0,"o2": 0,"o3": 0,"o4": 0,"o5": 0,"o6": 0,"o7": 0,"it": false,"bo": fals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4C": {"id": 5,"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2,"r2": 102,"r3": 102,"r4": 102,"r5": 102,"r6": 102,"r7": 102,"s1": 0,"s2": 0,"s3": 0,"s4": 0,"s5": 0,"s6": 0,"s7": 0,"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0,"o2": 0,"o3": 0,"o4": 0,"o5": 0,"o6": 0,"o7": 0,"it": false,"bo": tru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4D": {"id": 6,"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2,"r2": 102,"r3": 102,"r4": 102,"r5": 102,"r6": 102,"r7": 102,"s1": 0,"s2": 0,"s3": 0,"s4": 0,"s5": 0,"s6": 0,"s7": 0,"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0,"o2": 0,"o3": 0,"o4": 0,"o5": 0,"o6": 0,"o7": 0,"it": false,"bo": fals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4E": {"id": 7,"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5,"r2": 105,"r3": 105,"r4": 105,"r5": 105,"r6": 105,"r7": 105,"s1": 4,"s2": 4,"s3": 4,"s4": 4,"s5": 4,"s6": 4,"s7": 4,"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11,"o2": -11,"o3": -11,"o4": -11,"o5": -11,"o6": -11,"o7": -11,"it": false,"bo": tru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4F": {"id": 8,"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3,"r2": 103,"r3": 103,"r4": 103,"r5": 103,"r6": 103,"r7": 103,"s1": -3,"s2": -3,"s3": -3,"s4": -3,"s5": -3,"s6": -3,"s7": -3,"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0,"o2": 0,"o3": 0,"o4": 0,"o5": 0,"o6": 0,"o7": 0,"it": false,"bo": fals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50": {"id": 9,"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3,"r2": 103,"r3": 103,"r4": 103,"r5": 103,"r6": 103,"r7": 103,"s1": -2,"s2": -2,"s3": -2,"s4": -2,"s5": -2,"s6": -2,"s7": -2,"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18,"o2": -18,"o3": -18,"o4": -18,"o5": -18,"o6": -18,"o7": -18,"it": false,"bo": fals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51": {"id": 10,"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5,"r2": 105,"r3": 105,"r4": 105,"r5": 105,"r6": 105,"r7": 105,"s1": 5,"s2": 5,"s3": 5,"s4": 5,"s5": 5,"s6": 5,"s7": 5,"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0,"o2": 0,"o3": 0,"o4": 0,"o5": 0,"o6": 0,"o7": 0,"it": false,"bo": fals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u": false,"sb": false},"01DB87180BB2976000000052": {"id": 11,"he": 1000,"tc": 0,"sc": 4294967295,"uf": false,"uk": false,"sm": 0,"bf": "01DB87180BB2976000000045","f1": "함초롬바탕","t1": 1,"f2": "함초롬바탕","t2": 1,"f3": "함초롬바탕","t3": 1,"f4": "함초롬바탕","t4": 1,"f5": "함초롬바탕","t5": 1,"f6": "함초롬바탕","t6": 1,"f7": "함초롬바탕","t7": 1,"r1": 103,"r2": 103,"r3": 103,"r4": 103,"r5": 103,"r6": 103,"r7": 103,"s1": -4,"s2": -4,"s3": -4,"s4": -4,"s5": -4,"s6": -4,"s7": -4,"e1": 100,"e2": 100,"e3": 100,"e4": 100,"e5": 100,"e6": 100,"e7": 100,"o1": 0,"o2": 0,"o3": 0,"o4": 0,"o5": 0,"o6": 0,"o7": 0,"it": false,"bo": true,"ut": 0,"us": 1,"uc": 0,"st": false,"ss": 1,"so": 0,"ot": 0,"ht": 0,"hc": 0,"hx": 0,"hy": 0,"em": false,"en": false,"s
관리자
조회 4,532
인기
2025.02.24 HOUSE
시간이 빚어내 사람이 모이는 집. 대전 하기동 온실(On Sill)
시간이 빚어내 사람이 모이는 집대전 하기동 온실(On Sill) 박제된 듯 늘 똑같은 집보다, 살면서 변화를 담는 집을 지었다. 건축가가 그리고, 건축주가 빚어내고, 시간이 구워내는 그릇 같은 집은, 사람들을 모으고 삶을 버무리며 오늘도 동네를 밝힌다. 은빛으로 변한 삼나무 사이딩 외에는 시간의 흐름을 느끼기 어려운 주택의 외관.건축주는 건축가에게 트렌드가 느껴지지 않게 해달라는 요청을 했다. 안과 밖의 경계를 허물어 모임과 나눔이 자유로운 집 대전 교외에 녹지 사이로 폭 안긴 듯한 마을. 그곳에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은 독특한 주택이 한 채 서 있다. ‘온실’이라 이름 붙여진 네 식구의 집이다. 2층 규모에 폴리카보네이트와 은빛 목재 마감이 인상적인 온실은 집의 이름이면서 좁게는 이 집의 일부인 중앙 공간을 가리키는데, 크게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하나는 우리가 흔히 인식하듯 햇빛이 비치는 따뜻한 공간으로서의 온실(溫室)이고, 다른 하나는 문턱을 의미하는 영어에서 온 ‘On-Sill’이다. 문턱을 넘나들 듯 안과 밖의 경계가 자유롭고 그로 인해 자연스럽게 사람이 모이고 그러면서도 서로의 일상을 배려하는 이 집의 정체성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공간으로서의 온실은 폴리카보네이트 벽체와 지붕으로 덮인 실내면서도, 신발을 신고 다니는 공간이다. 온실은 가족이 모이는 공간이면서도 가족들 개인 공간을 분리한다. 집은 중앙의 온실을 중심으로 1층에는 주방과 식당, 게스트룸과 공방이, 2층에는 안방과 아이 방이 놓였다. 그렇다고 집은 온실을 향해서만 열린 폐쇄적인 중정 주택과는 다르다. 온실을 통해서 각 채에 접근할 수 있으나, 외부에서도 각각의 채로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출입구를 가졌다. 특이한 구조지만 그러면서도 한편에선 익숙한 느낌인데, 마치 한옥 중정에 지붕을 덮은 느낌이다. 그만큼 건축주 가족도 이 새로운 공간에 적응하는 데 얼마간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사람에 꼭 맞춰 그 시점에 박제된 듯한 집보다는 철학과 의미에 맞춰 지은 집과 사람이 함께 적응해 나가는 데에 의미를 두었다. 안도 밖도 아닌 중간 경계의 이 공간은 손님에게도 가족에게도 과거 느껴보지 못했던 새로운 경험을 선사했다. 가족은 두 번의 여름을 보내고 세 번의 겨울을 맞이하면서 이곳에서 이웃과 시간을 나누고, 추억을 쌓으면서 집의 진가를 발견해 나간다. 준공 직후 붉은 기운을 가지고 있던 집 외부의 삼나무 마감은 3년 정도 시간이 흐르며 시나브로 은빛으로 변했다. 건축주는 과거 사진을 보고서야 변했음을 깨달을 정도로 집에 익숙해져 있었다. 그럼에도 이 집에서 느낄 것도, 해야할 것도, 즐길 것도 많이 남았다는 건축주의 이야기에서 온실의 ‘완성’은 현재진행형이다. 수십명이 함께 지내도 충분한 온실은 이웃이나 친구, 친척 등 많은 이들과 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공간이다. 빛을 투과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 덕에 밤이면 주택은 마을에서 등대처럼 빛이 난다. 주택의 중간 공간인 온실에는 이동할 수 있는 평상을 둬 집 안의 집처럼, 정자처럼 서로 모여 책도 읽고 이야기도 나눈다. 온실 벽면에는 나무 형상으로 철망을 두르고 바닥에 공기 정화 식물인 제주산 아이비 덩쿨을 심었다. 준공 당시보다 세 배 이상 자랐다. 욕실과 세면대, 샤워실을 분리해 효율성을 높인 1층 욕실. 현관 옆 공방에서는 동네 아이들과 함께하는 수업이 열리곤 한다. 콤팩트하게 자리잡은 주방과 식당. 온실은 제법 더워보이지만, 환풍기와 실링팬, 공기 정화 장치 등의 활용으로 환기가 원활해 생활이 불편하지는 않다. 세탁실 옆 테라스는 공용공간이나 침실이 줄 수 없는 평온한 휴식을 준다. 1층과2층을 잇는 계단실.옆에는 세탁실이 자리해있다. 두 아이의 방은 중간에 슬라이딩 가벽을 두어 필요에 따라서는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도 있다. 온실 앞 계단식 테라스 공간은 안에서는 공간의 활용과 더불어 갑갑하지 않은 느낌을 주면서도 밖(도로면)으로부터 시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다. MOMENT 건축가는 건축도면에 설계철학을 적어 건축주에게 선물했다.지금은 액자에 담겨 현관에 걸려있는 도면. 주택이 지어진 자리는 과거 그린벨트에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주거지를 양성화한 곳으로,주변에 자연이 풍부하게 분포해 있었다. 주택은 여러 고민 끝에 중목구조를 선택해 지어졌다.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설치를 위해 중목 구조목 위로 금속 골조 작업 중인 모습. HOUSE PLAN 대지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지면적 :351㎡(106.17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거주인원 :4명(부부 + 자녀2) 건축면적 : 123㎡(37.20평) 연면적 : 197㎡(59.59평) 건폐율 : 34.16% 용적률 : 56.05% 주차대수 :1대 최고높이 : 6.6m 구조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 + 줄기초 / 지상 –중목구조(지붕 : 중목 보 + 2×10 구조목) 단열재 :연질우레탄폼 + 경질우레탄폼(가등급) 외부마감재 :외벽 – 유절 삼나무 사이딩 위 규화제 도장, 복층 폴리카보네이트, 노출콘크리트 위 발수제 처리 / 지붕 –컬러강판, 복층 폴리카보네이트(두인폴리캠) 담장재 : 디자인 블록(타공형) 창호재 : 이건 85㎜ PVC 삼중창호(기밀성 1등급) 철물하드웨어 :심슨스트롱타이 에너지원 :기름보일러 전기·기계·설비 :지엠 엔지니어링 구조설계(내진): ㈜채우림 + 마루구조엔지니어링 시공 :㈜채우림 031-821-1662 설계 및 디자인감리 : a0100z (아백제) space design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 – 중목 노출, 벤자민 무어 친환경 도장 / 바닥 –온실 및 1층 : 콘크리트 폴리싱, 떼카 코리아 원목마루 / 천장 –중목 노출 및 자작나무 합판 욕실·주방 타일 :시우타일 수입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대림 주방 가구·붙박이장 :한샘 조명 :국제조명 계단재·난간 : 계단재 –화이트 오크 / 난간 – 평철난간 위 우레탄 도장 현관문 :이건창호 터닝도어 방문 :영림도어 ABS 민판 데크재 : T20 무절 삼나무 위 규화제 도장 건축가 성상우, 오혜정 : a0100z(아:백제) a0100z 는 2004년 성상우와 오혜정이 설립한 디자인 모임이다. 이들은 ‘집은 집(集, 모이는 곳)이다’라는 슬로건을 걸고, 물질이 구축되는 모임의 방식과 사람의 삶이 땅에 새겨지는 방식(人文)을 건축적으로 표현한다. ‘함께(다양한 구성원의 모임)’와 ‘문턱이 닳는 집(직주일체)’이라는 시리즈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그리고 경계의 사이에서 이어지고 반응하는 ‘경계(境界)에 반연(攀緣)하다’라는 주제를 연구 중이다. a0100z@naver.com | www.a0100z.com 기획 신기영 | 사진 변종석 ⓒ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310 www.uujj.co.kr <!--[data-hwpjson]{ "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1, "dv": 0, "dr": 1, "do": 1, "vj": "1.1", "an": "Hancom Office Hangul", "av": "12, 0, 0, 3747", "ao": "WIN", "ab": "32", "ar": "LE", "as": "Windows_10" }, "dis": false, "ds": { "ti": "", "la": "ko", "cr": "", "su": "", "de": "", "cd": "2025-02-24T02:05:14.051Z", "ke": "" } }, "dh": { "do": { "pa": 1, "fo": 1, "en": 1, "pi": 1, "tb": 1, "eq": 1 }, "fo": [ ], "cd": { "tp": 0, "lc": { "af": false, "ui": false, "fu": false, "dn": false, "ul": false, "el": false, "at": false, "tq": false, "da": false, "dw": false, "dj": false, "bc": false, "bu": false, "al": false, "ab": false, "ap": false, "an": false, "aa": false, "ds": false, "de": false, "as": false, "cp": false, "ao": false, "et": false, "ay": false, "am": false, "a1": false, "bt": false, "av": false, "dh": false, "dp": false, "d1": false, "mf": false, "bl": false, "ag": false, "dg": false, "ae": false, "df": false, "do": false, "dl": false, "di": false, "d2": false, "d3": false, "ob": false, "d4": false, "ev": false, "d5": false, "d6": false, "a2": false, "dc": false } }, "ld": { "pa": "", "pi": true, "fo": false } }, "bf": { "01DB86608C9CA4A000000066": { "id": 1,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 }, "01DB86608C9CA4A000000067": { "id": 2,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0, "al": 0, "hs": -1 } } }, "01DB86608C9CA4A000000068": { "id": 3,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10066329, "al": 0, "hs": -1 } } } }, "cp": { "01DB86608C9CA4A000000069": { "id": 0,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6608C9CA4A000000067",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11, "o2": -11, "o3": -11, "o4": -11, "o5": -11, "o6": -11, "o7": -11,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6608C9CA4A00000006A": { "id": 1,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6608C9CA4A000000067",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5, "r2": 105, "r3": 105, "r4": 105, "r5": 105, "r6": 105, "r7": 105,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6608C9CA4A00000006B": { "id": 2,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6608C9CA4A000000067",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20, "r2": 120, "r3": 120, "r4": 120, "r5": 120, "r6": 120, "r7": 120, "s1": 6, "s2": 6, "s3": 6, "s4": 6, "s5": 6, "s6": 6, "s7": 6, "e1": 100, "e2": 100, "e3": 100, "e4": 100, "e5": 100, "e6": 100, "e7": 100, "o1": 0, "o2": 0, "o3": 0, "o4": 0, "o5": 0, "o6": 0, "o7": 0, "it": false, "bo": false, "ut": 0, "us": 1, "uc": 0, "st": false, "ss": 1, "so": 0, "ot": 0, "ht": 0, "hc": 0, "hx": 0, "hy": 0, "em": false, "en": false, "su": false, "sb": false }, "01DB86608C9CA4A00000006C": { "id": 3,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6608C9CA4A000000067",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관리자
조회 3,721
인기
2025.02.17 HOUSE
나무향기로 채운 두 번째 집 완주 상개리 주택
어머니는 나무 향 가득한 목조주택을 6년 만에 다시 지었다. 함께했던 빌더와 더 해보고 싶은 것들을 가득 모아 지은 집.그곳에 오랜만에 온 가족이 모였다. ‘집을 지으면 늙는다’는 표현처럼 여전히 많은 갈등과 어려움이 산재한 것이 집짓기다. 그런 집짓기를 두 번째, 그것도 같은 빌더와 해냈다면 이는 보통 인연은 아니라는 의미일 것이다. 오랫동안 선생님으로 근무하며 은퇴를 앞두던 건축주가 유병래, 유정환 형제 빌더의 ‘매직우드’를 통해 고창 지역에 첫 집을 지은 건 6년 전. 건축 자체도 즐거웠고 이후에도 사소한 안부부터 주택 관리까지 여러 부분에서 소통하며 신뢰를 이어갔다. 건축주는 요양을 위해, 또 세 식구가 오랜만에 모두 모여 함께 살기 위해 새로운 목조주택을 짓고자 했다. 건축주는 새로운 집도 주저 없이 그들에게 맡겼다. 6년간 만족스럽게 지내온 주택의 품질과 그동안의 맺어온 인연에서 온 믿음 때문이었다. 1넓은 데크와 깊은 현관 포치는 바깥 출입 시 효과적인 중간 공간이 되어준다. 2넉넉하게 확보한 뒷마당은 잔디 대신 포장해 관리 소요를 줄이고 여유로운 다용도 공간으로 활용한다. 3공간을 넉넉하게 둔 현관에는 3연동 자동 중문을 둬 두 손이 가득한 상황에서도 편리하게 드나든다. 첫 번째 집에서도 마음에 들었던 부분이라 다시 적용한 부분 중 하나. 4천장을 높인 거실에는 실링팬을 둬 원활한 공기 순환과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 복도는 동선의 중심으로, 왼편 계단을 통해 2층과 드나든다. 넓은 중문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으로 복도는 늘 밝다. 5상부장을 들어내 시원스러운 주방. 창문 건축주는 밖으로 펼쳐지는 소나무의 감성을 무척 좋아한다고. 6거실 발코니 창은 바깥으로 드나들기 편리하도록 파티오 도어형 방충망을 별도로 설치했다. 72층 자녀의 침실. 드레스룸에는 아치형 개구부를 두어 가볍지만 부드러운 포인트를 주었다. 81층 욕실에는 바닥 레벨을 조정해 매립식 욕조를 만들고 변기 옆 손잡이를 두어 먼 미래의 라이프사이클에도 대응하도록 했다. 9고양이 화장실 겸 케어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2층 발코니. 10마당은 두 공간으로 나눠 한 쪽은 봄이 오면 작은 텃밭을 만들 계획이다. 상개리 주택의 포인트 P.S.L.의 마감재 활용 P.S.L.은 특유의 표면을 가지고 있어 인테리어 용으로 활용하면 무늬는 물론 질감까지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4면 개방 패러랠 창호 거실에 쓰인 패러랠 창호는 벽체에 접하는 부분 없이 4면 모두 개방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충분한 환기가 가능하다. 출입이 간편한 매립욕조 독립형이나 조적식 욕조 대신 매립욕조를 시공했다. 나이 들어 거동이 어려워지는 상황까지 고려한 부분이다. HOUSE PLAN 대지위치 : 전라북도 완주군 대지면적 :790㎡(238.97평) 건물규모 :지상 2층 거주인원 : 3명(부부, 자녀 1) 건축면적 : 106.63㎡(32.25평) 연면적 :142.61㎡(42.83평) 건폐율 : 13.50%(법정 20%) 용적률 : 18.05%(법정 100%) 주차대수 :1대 최고높이 :7.75m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경량목구조, 외벽 : 2×6 구조용 목재(S.P.F), 지붕 : 2×10 구조용 목재(S.P.F) 단열재 : 기초 – T90 비드법단열재 2종1호 + T50 비드법단열재 2종1호 / 벽체 –T140 그라스울(R19, 가등급) + T90 비드법단열재 2종1호 / 지붕 –T220 그라스울(R37, 가등급) 외부마감재 : 벽 – 스터코플렉스 / 지붕 –스페니시 기와 담장재 : 조적 담장 위 미장 마감 창호재 : BAUEN 시스템 창호 에너지원 :LPG 설계 : 건축사사무소 그라운드 시공 :매직우드 010-7752-3322 byeongrae.yu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 – LX하우시스 벽지 / 천장 –무절 편백, LX하우시스 천장지 / 바닥 – 한솔마루 강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 국산 및 수입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주방 가구 : 하이글로시, 롯데케미칼 인조대리석 조명 : 수제조명, 엠씨에스㈜, D.H.전자㈜ 계단재 :P.S.L. 현관문 : 베라텍 단열문 중문 : 3연동 자동문 부림테크 방문 :예림도어 데크재 : 방부목 21㎜ 기획_신기영 | 사진_변종석 ⓒ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99 www.uujj.co.kr <!--[data-hwpjson]{ "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1, "dv": 0, "dr": 1, "do": 1, "vj": "1.1", "an": "Hancom Office Hangul", "av": "12, 0, 0, 3747", "ao": "WIN", "ab": "32", "ar": "LE", "as": "Windows_10" }, "dis": false, "ds": { "ti": "", "la": "ko", "cr": "", "su": "", "de": "", "cd": "2025-02-17T00:03:06.203Z", "ke": "" } }, "dh": { "do": { "pa": 1, "fo": 1, "en": 1, "pi": 1, "tb": 1, "eq": 1 }, "fo": [ ], "cd": { "tp": 0, "lc": { "af": false, "ui": false, "fu": false, "dn": false, "ul": false, "el": false, "at": false, "tq": false, "da": false, "dw": false, "dj": false, "bc": false, "bu": false, "al": false, "ab": false, "ap": false, "an": false, "aa": false, "ds": false, "de": false, "as": false, "cp": false, "ao": false, "et": false, "ay": false, "am": false, "a1": false, "bt": false, "av": false, "dh": false, "dp": false, "d1": false, "mf": false, "bl": false, "ag": false, "dg": false, "ae": false, "df": false, "do": false, "dl": false, "di": false, "d2": false, "d3": false, "ob": false, "d4": false, "ev": false, "d5": false, "d6": false, "a2": false, "dc": false } }, "ld": { "pa": "", "pi": true, "fo": false } }, "bf": { "01DB80CF54534310000000B2": { "id": 1,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 }, "01DB80CF54534310000000B3": { "id": 2,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0, "al": 0, "hs": -1 } } }, "01DB80CF54534310000000B4": { "id": 3, "td": false, "sh": false, "st": 0, "sc": 0, "si": false, "bt": 0, "bi": false, "cl": 0, "bc": false, "lt": 0, "lw": 0, "lc": 0, "rt": 0, "rw": 0, "rc": 0, "tt": 0, "tw": 0, "tc": 0, "bbt": 0, "bbw": 0, "bbc": 0, "dt": 1, "dw": 0, "dc": 0, "fi": { "wb": { "fc": 4294967295, "hc": 10066329, "al": 0, "hs": -1 } } } }, "cp": { "01DB80CF54534310000000B5": { "id": 0, "he": 1000, "tc": 0, "sc": 4294967295, "uf": false, "uk": false, "sm": 0, "bf": "01DB80CF54534310000000B3", "f1": "함초롬바탕", "t1": 1, "f2": "함초롬바탕", "t2": 1, "f3": "함초롬바탕", "t3": 1, "f4": "함초롬바탕", "t4": 1, "f5": "함초롬바탕", "t5": 1, "f6": "함초롬바탕", "t6": 1, "f7": "함초롬바탕", "t7": 1, "r1": 103, "r2": 103, "r3": 103, "r4": 103, "r5": 103, "r6": 103, "r7": 103, "s1": -2, "s2": -2, "s3": -2, "s4": -2, "s5": -2, "s6": -2, "s7": -2, "e1": 100, "e2": 100, "e3": 10-->
관리자
조회 3,658
인기
2023.05.31 HOUSE
마당과는 또 다른 매력, 옥상 활용법
ⓒ진효숙 탁 트인 전망, 한층 가까운 하늘이 있는 옥상.이 프라이빗한 야외공간을 더 알차게 쓸 수 있도록다양한 아이디어를 한자리에 모았다. 도심 속 주택가, 나만의 휴식 공간 ⓒ진효숙 오래된 골목 풍경을 간직한 서울 성산동 주택가의 협소주택. 20평 남짓한 땅에 지어진 작은 집이지만, 3층 테라스와 옥상에 휴식 공간을 두었다. 3층 테라스는 목재 루버로 외부 시선을 적절히 차단하고, 옥상에는 아웃도어용 테이블과 라운지 체어를 놓아 하늘과 바람을 누릴 수 있게 했다. 옥상은 침실로 쓰는 다락에서 출입문을 통해 연결되며, 3층 테라스에서도 수직 사다리를 이용해 오갈 수 있다./ 에이라운드건축 집을 따라 걷는 공중 산책로 ⓒ고영성 실을 분리하지 않고 모든 공간이 부드럽게 흐르는 동선을 가진 집. 마당을 둥글게 감싸는 주택의 옥상은 이 집에서 가장 개방된 공간이자 아름다운 주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로, 2층 침실과 연결된다. 이곳을 더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크를 깔아 제2의 마당이자 산책로를 마련했다. 옥상에서 바라본 마당 한가운데 지점에는 계절의 변화를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살구나무를 심었다./ 포머티브건축사사무소 프라이빗한 가족 놀이터 ⓒ변종석 도심 택지지구의 단독주택으로,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해 닫힌 구조로 설계된 집이다. 대신 활발한 여가활동이 가능한 또 하나의 마당으로 외부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옥상을 선택했다. 폭 1.8m, 길이 10m의 수영장과 2m×2m 규모의 스파를 두었고 수영장 건너편에는 계단실 일부에 싱크 시설을 매립 설치해 바비큐 파티와 홈 캠핑이 가능한 공간을 계획했다. 덕분에 온 가족이 산을 바라보며 여유를 누릴 수 있는 특별한 놀이터가 생겼다./ 유하우스 하늘을 향해 열린 야외 욕조 ⓒ백상현 세 채의 박공지붕 집이 이어진 형태의 제주 오오오하우스는 각 매스의 돌출 정도와 높이를 달리해 다양한 외부 공간이 생겨났다. 단층인 나머지 두 채와 달리 2층으로 계획된 가운데 집, ooo house는 o house의 지붕 공간을 활용해 이동식 욕조가 있는 야외 테라스를 마련했다. 지붕 면에 낸 창을 통해 제주의 바람을 느끼며 따뜻한 물에 몸을 담글 수 있는 휴식 공간이다./ 이룩(2LOOK) 지붕 위의 바닷가 ⓒ이승희 오름이 가까운 제주 중산간 마을의 스테이. A, B동과 C동 두 가지 타입의 집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두 번째 타입인 C동은 ㄱ자 형태의 노출콘크리트 지붕을 가지며 900평 넓은 들판을 향해 열린 모습이다. 깊은 처마는 지상엔 마당을 바라보며 쉴 수 있는 사이 공간을 만들고, 옥상엔 하늘과 원경을 바라볼 수 있는 백사장을 만들었다. 공중에 떠 있는 모래 위에 누워 멀리 바다를 바라볼 수 있는 이색 공간이다./ 피그건축사사무소 + 에그플랜트팩토리 반려묘를 위한 옥상 마당 ⓒ변종석 동갑내기 부부와 두 마리 반려묘가 사는 협소주택. 계단 사이를 통과하는 캣워크, 각 층을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캣타워 등 2층과 3층, 옥상의 나머지 반은 고양이들과 함께 지내는 데 특화된 공간으로 분리해 설계했다. 특히 옥상에 오르면 바비큐 등이 가능한 부부만의 야외 테라스와 고양이를 위한 놀이터가 함께 자리한다. 케이지를 이용해 고양이들이 안전하게 바깥 바람을 쐴 수 있다./ ㈜AAPA건축사사무소 사우나가 있는 휴식 공간 ⓒ변종석 뒤로는 남산자락이, 앞으로는 서울 전경이 펼쳐지는 이태원 어느 언덕에 자리한 협소주택의 옥상 테라스다. 야외 테이블과 의자를 두어 낮과 밤, 다른 매력을 발산하는 서울 시내 풍경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일조권 사선 제한으로 생긴 사다리꼴 매스 안에는 건식 사우나를 설치해 더욱 특별한 휴식 공간이 되어준다. 사우나 안에 앉으면 창 너머로 밖에서 보던 풍경과는 또 다른 경관을 누릴 수 있다./ ㈜건축사사무소더함 도심 속 나만의 정원 ⓒ변종석 북한산 아래 자리한 집. 도심 주택 단지라 앞마당이 꾸미기는 좋아도 활용도는 낮을 것으로 판단했고 1층 중정과 2, 3층 옥상 정원을 데크와 잔디정원, 계단식 텃밭으로 계획했다. 외부에서 시선을 사로잡는 옥상 정원의 기둥은 집을 더욱 웅장해 보이게 해주는 요소. 이 집의 뷰포인트이기도 한 옥상 정원은 계단이 있는 2개 층으로 나누어 반려동물들의 훌륭한 산책로가 되어주며, 여름철 전기료 절감을 위해 태양광 패널도 설치했다./ 디자인그룹 꼴라보 거실·주방과 연결된 옥상 마당 ⓒ변종석 좁은 땅을 알차게 채운 서울 응암동 윗마당집. 1층 근린생활시설, 2층 임대 세대로 구성하고 3층에 건축주 세대의 각 침실을, 4층에 거실과 주방 및 식당을 배치했다. 이는 공용공간을 위로 올려 일조권 사선 제한으로 후퇴하여 생긴 넓은 옥상 마당과 연계시킨 묘수가 되었다. 여름엔 큰 풀장을 설치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옥상은 폴딩도어를 활짝 열면 거실, 주방이 있는 주택 공용부와 바로 이어지는 가족만의 휴식처가 되어준다./ 건축사사무소 H2L 초록빛 하늘 정원 ⓒ변종석 판교 ㄴㄱ주택은 2층과 다락에 건축주 가족이 살고 지하층과 1층에 임대 세대가 사는 듀플렉스 하우스다. 외부 공간인 마당을 1층 임대 세대만 쓰게 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건축주 세대의 다락 면적을 조율하여 옥상 정원을 마련했다. 바닥에는 벽 마감과 같은 고벽돌을 깔고 일부에만 잔디밭을 조성했다. 모든 식재는 화분을 이용해 전원주택 마당 분위기를 물씬 내면서도 조경 시공과 관리를 쉽게 한 점이 인상적이다./ 스튜디오 바 구성_조고은| 사진_주택문화사DB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78www.uujj.co.kr 월간 <전원속의 내집>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3-05-31 17:57:15 HOUSE에서 이동 됨]
관리자
조회 9,104
인기
2024.10.28 HOUSE
하이브리드 한국형 목구조의 실험, 완도 목조주택
한국형 목구조의 실험 완도 목조주택 프리컷 중목 구조와 북미식 경골 목구조 사이에서 찾은 하이브리드라는 해답.한옥의 전통적 감성에 생활의 편의를 얹어 새로운 목조주택을 지었다. 단층으로 시원스레 길게 뻗은 주택 외관. 농촌 주택과 어촌 주택, 국내 중목 구조와 북미식 경골 목구조의 만남 지금은 다리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지만, 대지는 섬에 위치한다. 고갯길에서 삶의 터전인 바다를 내려다보고 있는 땅이었다. 이 땅에서 오랫동안 한자리를 지켰던 구옥을 철거하되, 마당에서 바다를 마주하던 기존 집의 기억을 오마주하고 너른 바다 위에 떠 있는 섬을 닮은 주택을 새로이 계획하였다. 구옥은 실내 공간과 외부공간의 경계가 모호했고 안과 밖의 중간에 있던 툇마루가 이를 분리해 주었다. 이는 건축주의 라이프스타일, 햇빛이 강하고 바람이 잦은 어촌 주택에 적합한 형태였다. 아울러 어촌이지만 밭농사도 함께 이루어지는 농촌 주택의 특성도 함께 있었다. 이러한 점들을 재해석하여 새로 지은 주택에는 농작물을 보관하는 창고(농촌)를 실거주 공간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구획하고, 생선을 손질하는 너른 공간(어촌)을 봉당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지붕 아래 연결하였다. SECTION 간살 중문은 집의 인테리어와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PLAN (위, 아래) 주택의 실내외를 연결하는 봉당은 이 집만의 아이덴티티가 되었다. 여름에는 개방하여 공기 순환을 돕고, 겨울에는 폴딩도어를 닫아 방풍 효과를 누리는 등 계절에 따라 쓰임이 달라진다. 또한 출입 동선, 창고, 보조 주방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더불어 건물 단면 구조의 일정화된 동일 모듈을 기반으로 장방형으로 건물을 계획하여 목구조의 산업화를 시도하되, 일부 변주 구간인 사선 구조재, 외벽 돌출구간, 모퉁이 창 등을 둠으로써 다양한 공간감이 드러나도록 계획하였다. 중목이 가진 구조적 장점을 극대화하여 벽과 벽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구조재이자 인테리어 마감 요소로써 활용했다. 이 외에도 목재 마감재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천장, 창호, 실내 벽체 등에 적용했다. 또한 하나의 지붕 아래 창고, 봉당, 거주 공간을 나눠 구획했다. 특히 건물의 실내이자 실외 공간 역할을 겸하는 봉당을 건물의 중심에 뒀다. 여름에는 개방하여 쾌적함을 도모하고 겨울에는 폴딩 도어를 닫아 방풍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장방형의 기존 골격을 토대로 현관과 주방을 잇는 회유 동선을 계획해, 쉽게 현관, 봉당, 주방을 서로 오갈 수 있도록 했다. 이로써 기존 집을 계승하면서도 살기 편한 쾌적한 가사 동선과 농촌주택과 어촌주택의 특징이 모두 반영된 목조주택이 새로이 태어났다. HOUSE PLAN 대지위치 :전라남도 완도군대지면적 :1,603.10㎡(484.93평)건물규모 :지상 1층건축면적 :202.27㎡(61.18평)연면적 :196.80㎡(59.53평)건폐율 :12.62%용적률 :12.28%최고높이 :4.7m주차대수 :1대구조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벽 – 경량목구조 2×6 + 중목구조 / 지붕 –경량목구조 2×10 + 중목구조외부마감재 :세라믹사이딩 + 외단열 스터코단열재 :외벽 – 그라스울 R23 / 내벽 –그라스울 R19 / 바닥 – THK100 비드법보온판 / 지붕 –그라스울 R37창호재 :레하우 시스템창호 + 3중 로이유리 47mm철물하드웨어 :∅16mm 스테인리스 스틸 L앙카 + 중목 프리컷 접합 철물에너지원 :LPG구조설계(내진) :우딘목재시공 :건축주 직영설계·감리 :엘리펀츠 건축사사무소 044-866-8339 https://studio-elephants.com 지붕의 사선 구조가 그대로 드러나 입체적이고 멋스러운 실내. 목구조 특유의 형태와 질감이 실내에서도 느껴질 수 있도록 마감했다 방 옆의 거실 한편은 방으로 나누지 않으면서도 아늑한 느낌으로 안쪽에 들여서 구획해 거실과 방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했다. 코너 창 덕분에 채광, 환기, 조망이 용이한 방. 단아하고 정갈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벽 – 도배 / 바닥 –이건마루 / 천장 – 자작합판 + 도배수전 등 욕실기기 :대림비앤코 + 진테크비젼주방·거실 가구·붙박이장 :제작 가구조명 :LED 3인치 7W 다운라이트 + T5 간접 조명현관문 :이글루도어 위 적삼목 취부중문 :우딘목재방문 :영림도어 (위, 아래) 마을의 자연 풍경에 자연스레 녹아들며 잘 어우러지는 주택. more about : 하이브리드 목구조의 국산화 국내 목조 건축물은 크게 기둥·보 가구조 형태의 중목 방식과 북미식 벽식 형태의 경골 목구조 방식으로 나뉜다. 중목 방식은 공간의 구조적 변경과 형태 구현이 자유로운 대신, 단열 및 벽체 형성에 취약한 점이 있다. 반대로 경골 목구조는 단열 및 벽체 형성에 유리하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자유로운 공간감 형성 및 자연스러운 구조재 노출의 제약이 있다.완도 주택에서는 중목 구조와 경골 목구조를 각각의 기능과 성격에 맞게 분리 및 결합하였다. 구조 프레임의 기본 기능 및 인테리어 요소로 중목 구조를 노출하고, 경골 목구조는 벽체로서 내진 및 단열에 치중하도록 했다. 지붕의 경우, 전통 한옥처럼 수직·수평재는 중목으로 처리하되, 사선 서까래 부재는 모두 북미식 경골 목구조로 하여 추가적인 중목 구조 없이 지붕 두께를 줄이고, 단열 성능을 높여 효율적인 기능 분배를 도모하였다.국내 중목 프리컷 업체를 통해 중목 구조를 가공하고 설계함으로써 국산화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상품으로서의 목조 주택 설계 및 시공을 시도하였다. 중목 구조의 기둥·보 사이즈에 맞추어 경골 목구조를 결합시키고 동시에 일부 목재를 노출시키기 위해 구조재의 규격도 함께 고려하였다. 글이양재| 사진윤홍로| 기획오수현 ⓒ 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99 www.uujj.co.kr
관리자
조회 7,202
검색
검색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정기구독 신청
Guest
로그인
회원가입
쇼핑몰
HOUSE
LIVING & DECO
CULTURE
설계제안
아이디어
분양정보
업체정보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