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로그인

HOUSE

HOUSE 가벼운 느낌으로 만난 투명한 집(Floating Wall House)

페이지 정보
profile image
작성자
  • 0건
  • 105회
  • 25-09-04 10:31
본문

가벼운 느낌으로 만난 투명한 집 Floating Wall House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0.jpg

자리 잡은 벽 사이로 펼쳐지는 풍경과 별과 하늘.

떠 있는 듯한 집에서 주중의 노고를 녹인다.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1.jpg

[취재 신기영 기자  사진 변종석]부드러운 산 능선이 만드는 매력적인 경관을 가진 마을의 한편. 외길을 따라가다 보면 야트막한 언덕 위 하얀 건축물이 눈에 담긴다. 흔한 말로 ‘언덕 위의 하얀 집’. 건축주 정재윤 씨는 “그것도 의도했던 것 중 하나”였다며 웃어 보였다. 흔한 말로 시작했지만, 흔한 형상을 가진 집은 아니었다. 

장방형의 긴 형태를 가진 집은 본채 위에 길고 큰 두 벽을 얹고 끝을 다른 벽으로 받쳐놓아 공중에 띄워 놓은 듯한 모습을 가졌다. 그 아래에 넓은 유리로 감싼 거실이 이 건축물이 집임을 드러낸다.

여행을 즐기는 가족을 위해, 코로나 걱정 없이 안심하고 쉴 공간을 위해 아내의 고향 집 옆 대지에 주말주택을 짓게 되었다는 재윤 씨. 낮에는 푸른 대지가 주는 경관을, 밤에는 별이 끝없이 펼쳐진 하늘을 담아보고 싶었던 가족은 주아키텍츠 주성용 소장과 미팅하면서 한 가지 요청을 했다. “집이 특이할 정도로 투명했으면 좋겠다”고. 그것이 이 독특한 집의 시작이었다.

벽이 떠 있는 듯한 형상은 투명함을 위해 도입된 디자인 요소 중 하나였다. 떠 있는 벽 아래로는 거실을 두르듯 3면에 큰 유리벽이 세워졌고, 풍경은 와이드하게 공간을 가득 채운다. 거실 유리벽 밖으로는 테라스와 남측 벽이 서 있다.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2.jpg

이 남측 벽은 거실을 연장하는 듯한 효과를 주면서 사계절의 변화를 더욱 드라마틱하게 만든다. 또한 떠 있는 벽을 지지하는 구조 역할을 하면서, 일사량을 조절하는 차양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울타리 역할을 해 테라스를 아늑한 휴식공간으로 만들어준다. 

수평으로 담아내는 풍경뿐 아니라 수직으로도 투명함을 만들고자 했다. 아이방과 부부침실 사이의 복도 위로 놓인 긴 장방형의 천창이 그것으로, 밤이 되면 천창으로 홍천의 반짝이는 밤하늘이 펼쳐진다. 복도는 수평 양측으로도 좁지만 긴 창이 나 있어 실내지만 자연 속에 고스란히 노출된 듯한 개방감을 즐긴다.

은 익숙한 지역에서 주말주택으로 계획되었기에 불필요한 부분은 상당히 덜어내고 대신 조금 더 여러 모험을 해볼 수 있었다. 집은 현관을 기준으로 남측으로는 거실 등 공용공간이, 북측으로는 침실이 자리했다. 이 집에서는 층을 늘리는 대신 층고를 높였다. 높은 층고가 가지는 매력과 계단으로 인한 면적 손실을 생각한 결과였다. 

3m에 이르는 천장고 덕분에 크지 않은 건축면적임에도 갑갑하지 않다. 재윤 씨는 “관념적으로 2층이나 다락을 올리기보다는 다양한 공간을 만나보고 결정했으면 좋겠다”며 예비 건축주들에게 권했다.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4.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3.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6.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5.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10.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11.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7.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8.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09.jpg

실내 공간은 ‘떠 있는 벽’처럼 구름을 모티브로 인테리어가 이뤄졌다. 공간을 풍부하게 간접등으로 채우면서 다운라이트로 밤하늘의 별빛을 묘사했고, 복도에 닿는 모든 문은 히든도어로 적용하는 등 벽체 장식을 최소화해 공간감을 명료하게 드러냈다. 방은 두 아이와 부부가 머물 두 칸만 최소한의 면적으로 담백하게 만들었다. 주말주택으로서 이 집과 주변에서 즐길 것들이 많아 방의 구성 요소와 장식은 최소화했다. 

여행을 즐기는 네 식구는 이제 주말마다 집에서 집으로 여행을 떠난다. 낮에는 뛰어놀고, 밤에는 불을 피워 음식을 해 먹으며 주말을 즐긴다. 자연을 품으며 마주하는 이 집에서 가족은 떠다니는 듯한 기분을 느끼며 가벼워진 마음으로 다시 한주의 일상을 꾸려간다.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12.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13.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15.jpg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16.jpg

 

 

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17.jpgc_066-073 홍천주택_주아키텍츠_-018.jpg

 

 

HOUSE PLAN

대지위치 ≫ 강원도 홍천군 대지면적 ≫ 863m2(261.05평) 건물규모 ≫ 지상 1층 거주인원 ≫ 4명(부부 + 자녀 2) 건축면적 ≫ 100.92m2(30.52평)  연면적 ≫ 100.92m2(30.52평) 건폐율 ≫ 11.69%  용적률 ≫ 11.69%

최고높이 ≫ 4.75m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철근콘크리트구조  단열재 ≫ 비드법단열재 2종1호 200mm, 220mm 외부마감재 ≫ 벽 - 플라스터 외단열시스템(STO) / 지붕 – 우레탄 복합방수 창호재 ≫ 이건창호 로이복층유리 TT, FIX   에너지원 ≫ 기름보일러   전기·기계·설비 ≫ 대영ENG 시공 ≫ 건축주 직영 구조·설계·감리 ≫ 건축사사무소 주아키텍츠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 – 삼화 친환경 수성페인트 도장 / 바닥 - 이건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 LAMINAM 이태리 수입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더존테크, HSTB 주방·거실·아이방 가구, 현관문·방문 ≫ 제작 데크재 ≫ 방부목

 

건축가 주성용 _ 건축사사무소 주아키텍츠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학부와 대학원에서 건축공부를 하였으며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를 거쳐 2018년 건축사사무소 

주아키텍츠를 설립하였다. 다양하고 실험적인 민간 및 공공 건축 작업을 통해 도시와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작업에 

관심이 있다. 서울시 공공·마을건축가, 양주시 공공건축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작으로는 서울고덕동 INFILL SHOP, 

PARK HOUSE, 여의도초등학교 PODIUM SCHOOL, 용인고기동 ANGLE HOUSE 등이 있다. 

02-6478-0078│www.jooarchitects.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