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IOR 1 : SPECIAL FINISH BATHROOM 1 > LIVING & DECO


2025.11.17 11:42

INTERIOR 1 : SPECIAL FINISH BATHROOM 1

  • 관리자 1일 전 2025.11.17 11:42
  • 27
    0

My Own Bathroom

특별한 마감, 똑똑한 공간 활용, 사용자 맞춤 요소 적용으로빛나는 욕실을 완성한 사례들을 만나보자.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04.jpg

 비앙코 무늬의 대형 타일로 벽면과 바닥 전체, 세면대 상판을 마감해 밝고 여성스러운 느낌을 연출했다.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의 세면대 상판으로 개방감을 살렸다. 

 

 

대리석 패턴의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욕실 가득 채워 넣은 사례들. 최근에는 세라믹 타일 등 대리석의 분위기를 표현해 낼 수 있는 방법이 예전보다 많아져 욕실에도 이전보다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욕실을 대리석 패턴으로 마감할 때는 바닥과 벽면, 그리고 일부 가구나 구성 요소를 같은 종류로 적용해 대리석의 자연스러운 무늬를 맥시멀하게 느껴보자.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05.jpg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06.jpg

 시원한 느낌의 빅슬랩 타일을 적용해 공간이 더욱 넓어 보이는 효과를 준다.

 

 

포인트가 되는 컬러 타일의 적절한 배치가 욕실을 개성 넘치는 공간으로 만든다. 다른 종류의 타일과 함께 배치하고, 색다른 마감재와 조화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해 특색 있는 욕실들이 탄생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07.jpg

 파란색의 포인트 타일과 컬러를 맞춰 거울을 제작하고 파티션도 블루 색상의 아크릴로 제작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08.jpg

오렌지 컬러의 타일과 불투명한 아크릴 천장 마감재가 만나 탄생한 키치한 욕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09.jpg

 노란색 타일과 테라조 스타일 타일의 만남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욕실이 완성되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0.jpg

한쪽 벽면만 강렬한 레드 컬러로 마감하고 수전과 나머지 면을 하얀색으로 마감해 컬러가 더욱 돋보이도록 연출했다.  

 

 

욕실 마감재로 잘 쓰이지 않는 자재를 사용한다면 다른 욕실과 차별되는 이색적인 공간을 만들 수 있다. 

건식 욕실에는 포인트 벽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방수 코팅 처리에 신경쓰고 꾸준히 관리한다는 전제가 있다면 목재 마감재와 미장 마감, 노출콘크리트 공법도 사용해 볼 수 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1.jpg

 계단실 옆 작은 공간에 건식 화장실을 구성하고 벽면을 패턴 벽지로 마무리했다. 자투리 공간이지만 다른 생활 공간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2.jpg

 목재 합판과 유리로 벽을 세우고, 천연방부목으로 데크를 설치, 벽면은 노출콘크리트 송판무늬 마감 공법을 사용해 다채로운 자재의 조화를 보여 준다.

 

 

주어진 욕실의 모양과 규모를 변경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규모의 한계를 뛰어넘어 공간을 재치 있게 활용한 사례들을 만나보자. 

욕조를 포기할 수 없거나 수납 공간이 절실한 경우부터, 생활 공간의 남은 알짜배기 공간에 건식 세면대를 설치해 욕실의 연장선으로 사용하는 사례까지.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3.jpg

창문과 마주보는 자리를 살려 조적욕조를 설치했다. 욕조로 올라가는 계단을 사선으로 틀어 남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4.jpg

 욕실 안의 또 다른 실을 구성하고 내부의 여유 공간에 욕조를 두어 면적을 알뜰하게 활용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5.jpg

 우드 & 베이지 톤으로 마무리한 욕실엔 샤워부스와 더불어 코너 공간을 활용해  욕조를 두었다. 욕조가 놓인 공간은 바닥 마감재를 다르게 사용해 공간감을 살렸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6.jpg

욕조 뒤쪽에 남는 삼각형의 공간을 조적으로 채워 목욕을 하며 여러가지 물품들을 올려두기 편하도록 만들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7.jpg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8.jpg

집안의 남는 공간을 활용해 멋진 건식 세면대 공간을 조성했다. 계단실 옆, 침실 안 등 가족의 생활 패턴에 맞는 곳에 가벽을 세우면 간편하고 기발하게 새로운 공간을 탄생시킬 수 있다. 

 

집 안의 공간 중에서 욕실만큼 집주인의 취향을 잘 드러내는 곳이 있을까. 사용자의 취향과 취미, 니즈를 충실히 반영한 비스포크형 욕실들이 눈에 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대중목욕탕에 가기 힘들었던 지난 3년여간 대중 목욕탕과 사우나의 요소를 집 내부에 적용한 사례들이 늘었다. 설치와 유지가 쉽지는 않지만, 

그만큼 프라이빗하고 안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맞춤형 공간이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19.jpg

편리한 홈사우나가 가능하도록 욕실 한편에 마련한 사우나실. 세면대와 마주보는 공간을 활용해 꽤 넉넉한 크기로 조성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20.jpg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21.jpg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22.jpg

일본 온천을 연상케 하는 히노끼탕과 좌식 샤워실을 조성한 욕실. 욕조 옆으로는 환기에 유리하도록 큰 창을 설계했다.

 

 

부모님을 위한 욕실, 아이들을 위한 욕실, 반려동물을 위한 욕실 등 가족 구성원의 연령과 성별, 인원에 따라 제각기 달라지는 욕실 인테리어와 요소들. 천편일률적

이고 획일화된 욕실에서 벗어나 사용자에게 꼭 맞춘 욕실 사례들이 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23.jpg

옐로우 플라스틱 ©비지스튜디오

반려견을 위한 목욕 공간을 따로 조성해 깔끔하고 위생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했다. 반려견의 몸집과 알맞은 높이의 벽체와 샤워기를 설치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24.jpg

㈜플로건축사사무소 ©변종석

 부모님을 위해 바닥 구조를 낮춰 안전함을 더한 히노끼 욕조를 설치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25.jpg

그린홈예진 ©변종석 

연로하신 부모님을 위해 욕실 곳곳에 안전 손잡이를 설치했으며 다운 욕조를 적용했다.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28.jpg

            바나나안바나나 ©변종석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26.jpg

YSH & ASSOCIATES ©윤준환

 

c_112-133 1월호 특집_욕실 인테리어_-027.jpg

아이들의 자립심과 유대감을 높이기 위해 전용 욕실 및 파우더룸을 조성했다. 대중 목욕탕처럼 구성된 샤워시스템으로 씻는 순서 때문에 다툴 염려가 없다.  

아이들의 취향을 반영해 핑크 컬러의 타일과 하부장을 적용했다.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